우당탕탕 다크모드 적용기

pingu·2023년 9월 11일
1
post-thumbnail

블로그에 들어가는 간단한 기능인 '다크모드'를 구현하다가 삽질을 경험했다.

다크모드?

리액트에서 css 와 state를 활용해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 다만 다른 요소를 생각하면 골치아파진다.
예를 들어, state 를 통해 구현했기에 브라우저를 새로고침하면 상태가 초기화 되어버리는 점, 모든 브라우저 호환성, 모든 텍스트와 배경 등 일일이 스타일 적용 등 고려할 부분이 꽤 많다.
구현은 쉽지만 까다로운 부분이 있어서 가능하면 잘 만들어진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게 마음이 편하다.

하지만 한번도 구현해본적이 없고 로직이 궁금해서 라이브러리없이 도전해봤다.
그리고 쌔게 맞았다.

구현해보자

상태와 스타일만

const Header = () => {
  const [DarkModeToggle, SetdarkModeToggle] = useState<'dark' | 'light'>('dark')
  const themeModeHandle = (e: any) => {
    e.preventDefault();
    SetdarkModeToggle(DarkModeToggle === 'dark' ? 'light' : 'dark')
  };
  useEffect(() => {
    document.body.dataset.theme = DarkModeToggle
  }, [DarkModeToggle])
  return (
    <MainContainer>
      <h4>minsang.dev</h4>
      {DarkModeToggle === 'dark' ?
        <HeaderIcons>
          <CustomImage onClick={themeModeHandle}
            width={40}
            height={40}
            alt="밝은 모드로 변경"
            src="/sunny.svg"
          />
        </HeaderIcons>
        :
        <HeaderIcons>
          <CustomImage onClick={themeModeHandle}
            width={40}
            height={40}
            alt="어두운 모드로 변경"
            src="/dark.svg"
          />
        </HeaderIcons>
      }
    </MainContainer>
  )
}
export default Header;
body[data-theme="dark"] { // 다크모드일 경우?
  background: rgb(29, 29, 29); // 다크모드 배경색상
  --hv-cr: rgb(58, 58, 58); // 다크모드 shoadow 색상
  color: white; // 다크모드 폰트 색상
  transition: background-color 0.2s ease; // 배경 스무스하게 바꾸기
}

body[data-theme="light"] { // 라이트모드일 경우?
  background: #ffffff; // 라이트모드 배경색상
  --hv-cr: #d4d4d4; // 라이트모드 shoadow 색상
  color: black; // 라이트모드 폰트 색상
  transition: background-color 0.2s ease; // 배경 스무스하게 바꾸기
}

state 와 css 에 상수를 선언해서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
그런데 여기서 브라우저를 새로고침을 하면 state가 초기화 되어버려서 모드 유지가 안된다.
그래서 상태 대신 localstorage를 활용해 유지시켜줬다.
바꾸는 김에 최대한 effect를 사용하지 않게끔 바꿔보았다.

로컬 스토리지 사용

const Header = () => {
  const router = useRouter()
  const themeModeHandle = (e: React.MouseEvent<HTMLImageElement>) => {
    e.preventDefault();
    const newTheme = localStorage.theme === 'dark' ? 'light' : 'dark';
    localStorage.theme = newTheme;
    document.body.dataset.theme = newTheme;
  };
  return (
    <MainContainer>
      <BlackThemeIcons>
        <CustomImage onClick={themeModeHandle}
          width={40}
          height={40}
          alt="밝은 모드로 변경"
          src="/sunny.svg"
        />
      </BlackThemeIcons>
      <LightThemeIcons>
        <CustomImage onClick={themeModeHandle}
          width={40}
          height={40}
          alt="어두운 모드로 변경"
          src="/dark.svg"
        />
      </LightThemeIcons>
    </MainContainer>
  )
}
export default Header;

오...잘되는 것...응?

새로고침을 하게되면 현재 다크모드 상태 > 깜빡 > 저장된 다크모드 상태 순으로 동작한다.
"깜빡현상" 발생
내가 Next.js를 썼구..서버에서 먼저 렌더링되므로 중간에 서버에서 렌더링된 배경색으로 잠시 바뀌는건가...?

그럼 브라우저를 그리기 전에 배경색을 설정을 해두면 문제가 없겠다!

스크립트 태그 위치 설정

Next.js 13 에서는 layout.js 안에 InnerHTML로 설정해두면 브라우저가 렌더링 되기전에 js 파일을 읽을 수 있게 설정을 할 수 있다.

script 태그 위치를 body 내용보다 위에 위치시켜서 먼저 동작하게 만드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layout.tsx
export default function RootLayout({
  children,
}: {
  children: React.ReactNode
}) {
  const setThemeMode = `
    if(!window.localStorage.getItem('theme')){
      localStorage.theme = 'dark'
    }
    document.body.dataset.theme = window.localStorage.getItem('theme')
  `
  return (
    <html lang="en">
      <StyledComponentsRegistry>
        <body className={inter.className}>
          <script
            dangerouslySetInnerHTML={{
              __html: setThemeMode,
            }}
          ></script>
          <Header />
          {children}
          <Footer />
        </body>
      </StyledComponentsRegistry>
    </html>
  )
}

리턴문을 보면 헤더, children, 풋터 위에 스크립트 태그가 있기 때문에 가장 먼저 읽힌다.

배경색 안바뀌고 문제없이 잘 작동한다. 깜빡이는건 새로고침을 했을때다.

왜 되는거지?

그런데...왜 되는거야...?
생각해보니까 layout.tsx 파일에 'use client' 설정을 해두지 않았으니... server components 잖아?
그럼 서버에서 렌더링되는건데....
근데 localstorage는 클라이언트 코드다.

그래서 layout.tsx 에 클라이언트 코드를 설정해두면 뭐...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코드를 만나면 Next.js 가 자동으로 클라이언트로 넘겨주는건가...?
아니면 서버에서 localstorage에 접근이 가능하게끔 만들어주나?
아닌데?
별의별 생각을 다 해봤다.

하지만 다 틀렸다.

const setThemeMode = `
    if(!window.localStorage.getItem('theme')){
      localStorage.theme = 'dark'
    }
    document.body.dataset.theme = window.localStorage.getItem('theme')
  `
return (
    <html lang="en">
      <StyledComponentsRegistry>
        <body className={inter.className}>
          <script
            dangerouslySetInnerHTML={{
              __html: setThemeMode,
            }}
          ></script>
          <Header />
          {children}
          <Footer />
        </body>
      </StyledComponentsRegistry>
    </html>
  )

localstorage 를 포함한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수 setThemeMode에 "문자열"로 넣었다.
그 후 setThemeMode를 dangerouslySetInnerHTML로 script 태그에 넣었다.
즉, 이 말은 server는 localstorage에 접근하지 않고 setThemeMode 안에 담긴 문자열을 클라이언트에 넘겨주기만 한다.
그럼 클라이언트는 script 태그 안에 있는 문자열을 실행한다. body 내용보다 먼저.

server : "음...script 태그에 "문자열"이 저장되어있군 클라이언트에게 넘긴다."
client : "ㅇㅋ..script 태그 실행 > setThemeMode > localstorage 발견"

그러니까 처음에 생각한 서버에서 렌더링되니까 뭐 배경색이 먼저 설정되고 뭐시기 뭐시기...응 아니야~

그럼 깜빡현상은 왜 발생한건데?

아니 그러면 서버에서 발생한 문제가 아니였으면 왜 아까 깜빡현상이 생긴걸까?

알고보니 범인은 나였다.

Create Next App 을 하게되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템플릿에 global.css 파일이 포함되어있다.

globals.css 파일에는 해당 코드들이 자동으로 포함되어있다.

@media (prefers-color-scheme: dark) {
  :root {
    --foreground-rgb: 255, 255, 255;
    --background-start-rgb: 0, 0, 0;
    --background-end-rgb: 0, 0, 0;

    --primary-glow: radial-gradient(rgba(1, 65, 255, 0.4), rgba(1, 65, 255, 0));
    --secondary-glow: linear-gradient(
      to bottom right,
      rgba(1, 65, 255, 0),
      rgba(1, 65, 255, 0),
      rgba(1, 65, 255, 0.3)
    );

    --tile-start-rgb: 2, 13, 46;
    --tile-end-rgb: 2, 5, 19;
    --tile-border: conic-gradient(
      #ffffff80,
      #ffffff40,
      #ffffff30,
      #ffffff20,
      #ffffff10,
      #ffffff10,
      #ffffff80
    );

    --callout-rgb: 20, 20, 20;
    --callout-border-rgb: 108, 108, 108;
    --card-rgb: 100, 100, 100;
    --card-border-rgb: 200, 200, 200;
  }
}
@media (prefers-color-scheme: dark) {
  html {
    color-scheme: dark;
  }
}

나는 이 코드를 삭제하지 않고 아래에다가 그대로 상수를 추가해서 다크모드를 적용했었다.

body[data-theme="dark"]
body[data-theme="light"]

그래서 '@media (prefers-color-scheme: dark)'가 의미하는게 뭔지 찾아봤더니
운영 체제의 색상 테마를 감지하고 그 테마 상태에 따라서 배경색을 결정하는 코드였다.
...
그러니까 난 쓰지도 않는 코드를 지우지도 않고 작업하다가 생긴 문제를 보고 서버의 문제니 뭐니 렌더링의 문제니 뭐니 하면서 삽질했던 것.

globals.css 의 해당 코드를 삭제하면 해결된다.

눈물나는 시간을 버리고 얻은게 있다면 가능하면 잘 만든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것.

그리고...사용하지 않는 코드는 반드시 정리할 것.

profile
코딩공부 리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