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1장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kkkey·2022년 9월 27일
0

Java_Spring

목록 보기
1/1

1장에서는 스프링 개발에 앞서 필요한 기본 선수지식들을 잠깐 살펴 본다

1.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yperText란 맨 처음에는 그저 "다른 문서로 향하는 링크가 있는 텍스트"였지만 오늘날에는 HTML문서 뿐만 아니라 그림 파일 동영상 등등도 주고 받을수 있도록 발전했다.
그림을 통해 HTTP큰 틀을 살펴보자

출처 https://blog.naver.com/coco0853/222835522608

HTTP 요청에는 GET,POST,PUT,DELETE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건 사용자에 따라 커스텀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또한 HTTP의 큰 특징에는 응답코드가 있다. 200은 성공적 처리, 300은 리다이렉션 완료, 400은 요청오류, 500 서버오류로 크게 나누어진다. 각각의 번호 안에는 많은 코드가 있다. 예를들어 매우 유명한 에러코드 404는 해당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또 HTTP에는 바디가 있다. 바디에는 요청 처리 결과를 보내곤 한다.

2.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

json은 문자열이다. 근데 이것이 객체를 표현한다.

이 객체를 json 형태로 만드는걸 Serialization, 반대는 deSerialization이라고 한다.

3. 서버란?

서버란 간단하게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포트의 소켓을 열고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할때까지 무한히 대기를 한다. 그러다 연결되면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을 받아와 응답을 작성해준다.

서버는 크게 정적웹서버, 동적웹서버로 분리된다.

4. 정적웹서버

정적웹서버는 서버 중에서도 리소스 파일을 리턴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따라서 딱히 어떠한 처리를 하지 않고 가지고 있는 파일을 그래도 리턴한다.

5. 동적웹서버

근데 그대로만 리턴하면 안되는 요청들도 있다. 그런 요청들을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바로 동적웹서버이다.동적웹서버는 요청을 처리한 후 처리한 결과에 따라 응답 바디를 재구성 하여 HTML템플릿 파일에 결과를 대체해 보낸다.

profile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입니당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