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수업을 처음으로 듣게 되었다. 강의의 구성은 짧은 이론 강의와 함께 1-2개 가량의 실습 강의로 이루어져있다. 길지 않은 핵심 강의 덕분에 집중력을 잃지 않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었다 😝
print("Hello World")
대학교 1학년 때 배웠던 이후로도 잊을 수가 없는 것 같다 ㅎ.ㅎ 뭔가 새록새록 기억나고, 웃기기도 하다 🥲
Python에서는 우리가 원하는 정보나 자료를 컴퓨터가 출력할 수 있게한다.
print("내 목표는 교육을 모두 듣는 것!")
이와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내용을 출력할 수 있으며, print()를 실행한 결과물은 '내 목표는 교육을 모두 듣는 것!' 이렇게 나오게 된다.
그런데, 내가 매번 하나의 자료로 이루어진 글만 출력할까? 여러 자료를 출력하고 싶을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할까?
print(10, "Hello")
'콤마'를 사용해서 여러 자료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숫자형 자료와 문자열 자료가 함께 출력되며, '10 Hello' 와 같은 값이 나오게 된다. (이 둘 사이에는 띄어쓰기가 들어가게 된다.)
먼저 자료형이란, 숫자, 문자(열) 등과 같이 컴퓨터로 표현할 수 있는 자료의 종류를 말한다.
숫자로 이루어진 자료형 정수나 실수 등을 다룰 수 있다. 숫자끼리의 연산이 가능하다.
3 # 정수(integer)
3.14 # 실수(float)
3+4j # 복소수
문자나 문자들을 늘어놓은 것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로 구분한다.
'Hello!'
'3.14' # 작은 따옴표도 가능
"3.14" # 큰 따옴표도 가능
여러 자료를 함께 보관하는 자료형으로, 다른 종류의 자료를 함께 담을 수 있다. 또한, 자료 안에는 순서가 존재한다.
[] # 빈 리스트
['a', 'b']
['a', 2] # 다른 자료형을 함께!
이 밖에도 불 (Bool), 사전 (Dictionary), 튜플(Tuple), 집합(Set) 등의 자료형도 존재한다.
주석은 컴퓨터가 무시한다. 한 줄 주석은 #, 여러 줄 주석은 """ multiple lines """, ''' multiple lines '''로 한다.
자료를 '그릇'에 담아서 보관, 사용하면 편리하다. 파이썬에서는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변수라고 한다.
변수 이름 = 자료
이때 (=)의 의미는 '같다'가 아닌 '넣어준다, 대입한다'라는 의미이다.
num = 10 # 숫자
name = "Minseung" # 문자열
grade = ['A+', 'B0', 'A0'] # 리스트
숫자, 알파벳, 한글, 언더바(_)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주의
- 변수이름이 숫자로 시작하면 안된다.
- 숫자로만 구성된 변수 이름 금지
- 파이썬 문법에서 사용되는 예약어 (이미 사용되는 단어: for, while, if...) 사용 금지
- 공백 문자()와 연산자(+,-,% 등) 사용 금지
나의 첫번째 파이썬 수업은 여기까지이다. 아마 혼자서 실습도 다시 해보고, 개념적인 부분에서 더 숙지해야 할 부분이 많은 것 같다. 그 부분은 좀 더 공부하고 찾아보면서 보완해나가야 할 것 같다 😊 아무튼 상당히 재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