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글은 Mac을 사용하여 진행하였습니다.)
curl ifconfig.me
시스템 환경설정 > 네트워크 > Wi-Fi 클릭
** 서버로 사용하고자 하는 pc에서 확인해야함 (그래야 외부에서 개발서버로 접근가능)
(하얀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사설 IP 주소)
포트포워딩이란
포트 포워딩 또는 포트 매핑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라우터나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가로지르는 동안 하나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 결합의 통신 요청을 다른 곳으로 넘겨주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의 응용이다.
출처 : 위키백과쉽게 말해서 내 공유기를 통해서 요청이 올 때 도착지를 변경해주기 위함
먼저 포트포워딩 설정을 위해서 게이트웨이 주소로 이동해보자
(따로 설정한 적이 없다면 공유기의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는 192.168.0.1이다)
192.168.0.1 이동
iptime의 초기 계정
아이디 : admin
비밀번호 : admin
(개발서버에 접근하기 위해서)
규칙이름 : 아무거나 상관없음
내부 IP주소 : 방금 확인한 사설 IP (서버 컴퓨터의 사설 IP 주소)
프로토콜 : TCP
외부 포트 : 22
내부 포트 : 22
모두 입력 후 적용 버튼 클릭
3306 : db (mysql)
8080 : 톰캣
80 : http (나중에 도메인 설정 후 접근하기 위해서)
9090 : jenkins
여기까지만 설정해두면
도메인 구매 후 공인IP 연결 시 (도메인 구매한 사이트에서 가능할겁니다.)
도메인:8080 접근 시 localhost:8080를 바라볼 수 있습니다.
시스템 환경설정 > 공유 > 원격 로그인
ssh로 접근할 수 있는 아이디 생성 (아무거나 상관없음)
ssh 개발서버에서추가한아이디@공인IP주소
ex) ssh alfo@123.123.123.123
비밀번호는 개발서버 pc에 로그인할 때와 동일합니다.
로그인 성공 후 계정이 변경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