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yule.log
로그인
minyule.log
로그인
호스트, 호스팅, 도메인, 노드, 포트
김민영
·
2023년 4월 12일
팔로우
0
네트워크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5/5
호스트
네트워크/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인터넷에 연결된 장치 device
다른 호스트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번호: IP 주소
자기 자신의 컴퓨터를 서버로 설정하여 접속할 때는 localhost로 접속함
localhost: 호스트 자신을 가리키는 고유한 별칭
도메인
호스트네임 vs 도메인네임
호스트네임: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또는 서버에 부여되는 고유한 이름. 네트워크 디바이스(컴퓨터)에 할당된 이름. IP주소, MAC 주소와 같은 기계적 이름이 아닌, 일반인이 쉽게 읽을 수 있는 이름. ex) mail.naver.com
도메인네임: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 네임. 네트워크에 부여되는 이름. ex) naver.com
호스팅
서버를 만든 후, 네트워크에 띄워서 서비스하는 일련의 과정
IP와 서버를 연결하는 작업
노드
네트워크 공간 상에 있는 모든 장치 device 호스트: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해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노드(호스트 < 노드)
ex) 컴퓨터, 스마트폰, 모뎀, 허브, 스위치
포트
호스트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구분짓기 위함
IP 주소는 호스트를 판별할 때 필요한 주소
포트번호는 컴퓨터 안에서 프로그램을 찾을 때 나타는 식별자
16비트로 구성. 0~65535
0~1023: well-known port. 메일 서버 등 일반적인 서버 소프트웨어가 서비스 요청을 대기할 때 사용
20 - FTP(data)
21 - FTP(제어)
22 - SSH
23 - Telnet
25 - SMTP
53 - DNS
80 - HTTP
110 - POP3
443 - HTTPS
1024~49151: registered port. 제조업체의 독자적인 서버 소프트웨어가 클라이언트 서비스 요청을 대기할 때 사용
49152~65535: dynamic port.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대해 요청을 보낼 떄 출발지 포트로 랜덤으로 지정해서 보냄)
김민영
노션에 1차 정리합니당 - https://cream-efraasia-f3c.notion.site/4fb02c0dc82e48358e67c61b7ce8ab36?v=
팔로우
이전 포스트
OSI 7계층
0개의 댓글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