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TP(Network Time Protocol )란

carlkim·2024년 1월 2일
0

시스템엔지니어링

목록 보기
24/35

NTP(Network Time Protocol)란?

네트워크 시각 프로토콜

NTP 는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끼리 시각을 동기화 시키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NTP는 시간을 1/1000 초 이하까지 동기화 시키기 위해 세계 시각(UTC)을 사용합니다.

'------- NTP 동기화 방법 --------

  1. 리눅스 NTP 서버 설정
yum install ntp

NTP 설정 파일 수정

NTP 서버에 NTP 패키지가 설치되었다면 /etc 디렉토리 하위에 ntp.conf 파일이 생성된다.

NTP 서비스를 시작전에 NTP 서버 etc/ntp.conf 파일에 Time Sever가 시간을 동기화할 IP를 추가하고 사용하지 않을 설정들을 주석 처리한 후 ntp log를 설정 등을 설정한다

원본을 수정하기전 백업 실행(복사)

cp -p /etc/ntp.conf /etc/ntp.conf_bk
vim /etc/ntp.conf
  1. 8, 13, 14, 21, 22, 23, 24, 69번라인 주석처리.
  2. 26번, 28, 70번 줄을 추가한다.
  3. 68번 줄은 ntp 관련 로그를 설정해놓은 경로로 원하는 경로를 넣어주면 된다.
  4. 26번 줄은 ntp 서버의 시간 동기화 설정을 아래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고용 ntp 서버로 설정한다.

---- NTP 서비스 시작 ----

systemctl enable ntpd
systemctl start ntpd

--- 리눅스 NTP 설정 확인 ---
동기화 확인

ntpq -p
ntpq -c rl

--- NTP CLIENT 서버 설정 ----

패키지 설정

yum install ntp

NTP 설정 파일 수정

NTP 서버와 동일하게 /etc 디렉토리 하위에 ntp.conf 파일이 생성된다.
NTP 클라이언트 서버 /etc/ntp.conf 파일에 ntp 서버 IP를 추가하고 사용하지 않는 설정은 주석처리 후 log 등을 설정

원본 파일 백업 진행 후 수정 시작 할 것

cp -p /etc/ntp.conf /etc/ntp/conf_bk

수정

vim /etc/ntp.conf

  1. 8, 13, 14, 21, 22, 23, 24, 67 주석처리

  2. 26번 라인은 NTP 서버를 바라보게 NTP서버가 설정된 IP를 입력한다.

  3. 68번 라인에 NTP LOG를 설정한다.

(26번 라인은 IP를 직접 입력하거나 /etc/hosts 파일에 ntp 서버가 등록된 호스트 이름이 있다면 ntp 서버의 hostname를 입력해도 된다)

systemctl enable ntpd
systemctl start ntpd

--- 리눅스 NTP 설정 확인 ---
동기화 확인

ntpq -p
ntpq -c rl

NTP 서버

NTP 클라이언트 서버

업로드중..

profile
기본부터 가면 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