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본

problem_hun·2023년 3월 10일
0

모두의 네트워크

목록 보기
1/9
post-thumbnail

개발자로 취업준비를 하면서도 막상 CS공부는 열심히 하지 않았다. 앞으로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으로 공부를 하면서 TIL로 기록을 남겨보려고 한다. 오전 줌터디도 시작했으니 이 시간엔 네트워크 CS 공부와 정리에 집중!

 


네트워크의 구조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네트워크'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컴퓨터나 여러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생각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는 컴퓨터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한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의 종류 중에는 가장 유명한 인터넷이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간의 연결

인터넷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

패킷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면 규칙이 있어야 한다. 웹 브라우저에는 사진과 문자같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필요한 규칙이 있는데 이를 패킷이라 한다. 큰 데이터를 작게 나누어서 보내는 규칙이다. 큰 데이터를 그대로 네트워크로 전송하면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점유)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거대한 화물트럭으로 보내는 대신, 오토바이 여러 대로 화물을 보내는 방식이다. 목적지에서는 패킷을 하나로 합치는 작업을 하는데, 보낼 때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전송하기 때문에 번호 순서대로 다시 합치면 원본 데이터가 된다.

패킷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

대역폭

단위 시간당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량. 주어진 시간 내에 전송할 수 있는 정보의 양으로 비피에스(bps) 단위를 사용한다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비트와 바이트

모든 컴퓨터는 데이터를 숫자 0과 1만으로 다룬다. 그 0과 1의 집합을 디지털데이터라고 한다. 수많은 0과 1이 모이면 사진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0 또는 1 하나로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비트라고 한다. 0 또는 1이 여덟 개로 정보를 표시하는 단위는 바이트라고 한다. 따라서 8비트는 1바이트가 된다.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바이트단위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을 한다.

그런데 0과 1만으로 어떻게 문자로 표현할까? 이는 각 문자와 문자에 해당하는 숫자로 문자코드 라는 대응표를 만들어서 0과 1인 이진수로 해당하는 숫자를 입력하면 문자가 입력되는 방식으로 표현이 된다. ASCII코드는 알파벳, 기호, 숫자 등을 다룰 수 있는 기본적인 문자코드이다. 이를 여러 국가의 언어나 이모티콘으로 확장된 것이 유니코드라는 문자코드다.

비트

0 또는 1로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

바이트

0 또는 1인 숫자 8개(8비트)로 정보를 나타내는 단위.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을 한다.

문자코드

문자와 문자의 대응표를 만들어 해당 이진수 숫자가 입력되면 문자로 변환한다.

ASCII 코드

알파벳, 기호, 숫자 등을 다룰 수 있는 기본적인 문자코드. ASC가 American Standard Code이기 때문에 영어를 기준으로 만들어졌다.

유니코드

영어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ASCII코드를 확장해 세계의 여러 언어와 이모티콘 등을 표시할 수 있게 해주는 문자코드이다.

 


랜(LAN)과 왠(WAN)

랜과 왠의 차이

네트워크는 접속할 수 있는 방식에 따라 크게 랜(LAN)왠(WAN)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랜(LAN)은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이다. 가정이나 빌딩 안에 있는 사무실 같이 지리적으로 제한된 곳에서 컴퓨터와 프린터를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왠(WAN)은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 구축된 네트워크이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를 말한다. 서울과 부산같이 먼 거리에 있는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

랜 (LAN - Local Area Network)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하는 거리가 짧아 신호가 약해지거나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낮고 왠(WAN)보다 빠르다.

왠 (WAN - Wide Area Network)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 랜과 랜을 연결시켜주므로 범위가 넓다. 랜(LAN)보다 속도가 느리고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KT나 SK브로드밴드, U+ 등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주체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가정에서는 위에서 말했듯이 랜(LAN)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이 랜과 인터넷을 연결하려면 ISP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공유기라는 장비가 필요하다. 연결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정식 용어로 유선랜과 무선랜이라고 한다.

공유기

랜과 ISP의 인터넷 연결을 해주는 장비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소규모 회사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회사의 랜 구성과 가정의 랜 구성에서 다른 점은 DMZ라는 네트워크가 있다는 점이다. DMZ는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라고 보면 되는데, 주로 서버를 공개하며 웹 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를 공개한다. 회사에서는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서버를 사내에 설치하거나 데이터 센터에 두거나 클라우드에 둘 수 있다. 사내나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을 온프레미스라고 한다.

서버

다른 컴퓨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웹 서버

웹 사이트를 외부 사용자에게 공개할 수 있는 서버

메일 서버

외부 사용자와 메일을 주고 받기 위해 공개하는 서버

DNS 서버

외부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해 회사의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공개하는 서버

데이터 센터

대량의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기를 설치한 전용 시설

클라우드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같이 원격 환경이 아닌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

profile
문제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