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수포자는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준말입니다. 수포자 삼인방은 모의고사에 수학 문제를 전부 찍으려 합니다. 수포자는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 다음과 같이 찍습니다.
1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1, 2, 3, 4, 5, 1, 2, 3, 4, 5, ...
2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2, 1, 2, 3, 2, 4, 2, 5, 2, 1, 2, 3, 2, 4, 2, 5, ...
3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3, 3, 1, 1, 2, 2, 4, 4, 5, 5, 3, 3, 1, 1, 2, 2, 4, 4, 5, 5, ...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의 정답이 순서대로 들은 배열 answers가 주어졌을 때, 가장 많은 문제를 맞힌 사람이 누구인지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def solution(answers):
answer = []
one = [1,2,3,4,5] * 2001
two = [2,1,2,3,2,4,2,5] * 1251
three = [3,3,1,1,2,2,4,4,5,5] * 1001
count1 = 0
count2 = 0
count3 = 0
for i in range(len(answers)):
if one[i] == answers[i]:
count1 += 1
if two[i] == answers[i]:
count2 += 1
if three[i] == answers[i]:
count3 += 1
temp = [0,count1,count2,count3]
MAX = max(temp)
for i in range(len(temp)):
if MAX == temp[i]:
answer.append(i)
return answer
문제가 읽기가 어렵진 않았다. count해주고 그 count대로 오름차순 배열을 만들어 주면 된다.
카운트를 각각 해주는 것은 해결했고, 그 다음에 최대를 계산하는 것과 그 최대를 바탕으로 어떻게 return 할 배열을 만들어야 하는데 그 방법을 생각해내는 아이디어가 핵심이었다. 나한테는.
그래서 0을 추가한 temp 배열을 만들어서 MAX 계산도 하고 그 인덱스(1,2,3)을 return 배열에 추가하는 방법이다.
그리 어렵진 않았다. 인덱스로 return 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화이팅
겨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