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 대괄호([]
)로 묶어주면 리스트가 되며, 콤마(,
)로 구분한다.
>>> a = [38, 21, 53, 62, 19]
# 리스트에 저장된 값 : 요소(element)
>>> a
[38, 21, 53, 62, 19]
리스트는 문자열, 정수, 실수, 불 등 모든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자료형을 섞어서 저장해도 된다.
>>> person = ['james', 17, 175.3, True]
>>> person
['james', 17, 175.3, True]
리스트에 여러 가지 자료형을 사용하면 관련 정보를 하나로 묶기 좋다.
빈 리스트를 만들 때는 []
만 지정하거나 list
를 사용하면 된다.
>>> a = []
>>> a
[]
>>> b = list()
>>> b
[]
# 빈 리스트는 보통 만들어 놓은 뒤에 새 값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사용
range
는 연속된 숫자를 생성하는데 10을 지정하면 0부터 9까지 숫자를 생성한다. (지정한 횟수 숫자는 생성 숫자에 포함되지 않음)
>>> range(10)
range(0, 10)
>>> a = list(range(10))
>>> a
[0, 1, 2, 3, 4, 5, 6, 7, 8, 9]
range
는 시작하는 숫자와 끝나는 숫자를 지정할 수도 있다. 끝나는 숫자는 생성 숫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 b = list(range(5, 12))
>>> b
[5, 6, 7, 8, 9, 10, 11]
range
에 증가폭을 지정하면 해당 값만큼 증가하면서 숫자를 생성한다.
>>> c = list(range(-4, 10, 2))
>>> c
[-4, -2, 0, 2, 4, 6, 8]
증가폭을 음수로 지정하면 해당 값만큼 숫자가 감소한다.
>>> d = list(range(10, 0, -1))
>>> d
[10, 9, 8, 7, 6, 5, 4, 3, 2, 1]
튜플은 리스트처럼 요소를 일렬로 정리하지만, 안에 저장된 요소를 변경, 추가, 삭제 할 수 없다.
변수를 저장할 때 괄호(()
)로 묶어주면 튜플이 되며 각 값은 콤마(,
)로 구분해준다. (괄호로 묶지 않고 값만 콤마로 구분해도 튜플이 된다.)
# 괄호 사용함
>>> a = (38, 21, 53, 62, 19)
>>> a
(38, 21, 53, 62, 19)
# 괄호 사용하지 않음
>>> a = 38, 21, 53, 62, 19
>>> a
(38, 21, 53, 62, 19)
튜플도 리스트처럼 여러 자료형을 섞어서 저장해도 된다.
>>> person = ('james', 17, 175.3, True)
>>> person
('james', 17, 175.3, True)
튜플을 사용하는 이유는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튜플을 사용하는 쪽이 더 유리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며, 보통 요소가 절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어야 할 때 사용한다.
(튜플을 만든 상태에서 요소를 변경하게 되면 에러가 발생한다.)
다음 소스 코드를 완성하여 리스트 [5, 3, 1, -1, -3, -5, -7, -9]가 출력되게 만드세요. 리스트를 만들 때는 range를 사용해야 합니다.
a = list(range(5, -10, -2))
또는
a = list(range(5, -11, -2))
print(a)
# 실행결과
[5, 3, 1, -1, -3, -5, -7, -9]
실행결과를 보면 5부터 -9까지 숫자가 2씩 감소하면서 출력되고 있다. 따라서 list
에 range(5, -10, -2)
와 같이 숫자를 생성하는 range
를 넣고 변수 a
에 할당해주면 된다.
끝나는 숫자를 -11로 지정해도 -11은 포함되지 않으므로 [5, 3, 1, -1, -3, -5, -7, -9]를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