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해서 저장한 운영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의 종류
- 통합 데이터 (Intergrated Data)
- 저장 데이터 (Stored Data)
- 공유 데이터 (Shared Data)
- 운영 데이터 (Operational Data)
특성
- 실시간 접근 (real-time Accessibility)
- 계속 변화 (continuous evolution)
- 내용 기반 참조 (contents reference)
- 동시 공유 (concurrent sharing)
데이터베이스를 정의/조작/제어/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SW 시스템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데이터들은 특정 DBMS마다 정의된 쿼리 언어를 통해
삽입, 삭제, 수정, 조회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장점
- 데이터 중복을 통제 가능
- 데이터 독립성이 확보
- 데이터를 동시 공유
- 데이터 보안이 향상
-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
- 표준화 가능
- 장애 발생 시 회복이 가능
- 응용 프로그램 개발 비용이 감소
단점
- 고비용
- 백업과 회복 방법이 복잡
- 중앙 집중 관리로 인한 취약점이 존재
1세대: 네트워크 DBMS, 계층 DBMS
- 네트워크 DBMS: 데이터베이스를 그래프 형태로 구성
- 계층 DBMS: 데이터베이스를 트리 형태로 구성
- 1960년대까지 활발히 사용되었습니다.
2세대: 관계형 DBMS
- 데이터베이스를 테이블 형태로 구성
- 단순하고 직관적이라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3세대: 객체지향/객체관계 DBMS
- 객체지향 DBMS: 객체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성
- 객체관계 DBMS: 객체 DBMS + 관계 DB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