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Grammar

mochang2·2023년 12월 10일
0

JS

목록 보기
9/16

html 상에서 script 위치, option

  • head with no option
<head>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xxx.js"></script>
</head>

html은 인터프리터처럼 작용해서 위에서부터 읽어내려옴. 그런데 body를 만나기 전에 script태그를 만나서 js를 가져오면 html을 보여주는 속도가 느려짐.

  • body with no option
<body>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xxx.js"></script>
</body>

html을 먼저 보여줄 수는 있지만 js에 의존적인 사이트라면 좋지 않은 옵션.

  • head with async option
<head>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xxx.js"></script>
  <script async type="text/javascript" src="yyy.js"></script>
</head>

js를 병렬적으로 다운받음. 먼저 다운로드가 된 js부터 실행(위에서부터 실행하는 것이 아님). 1보다 html을 보여주는 속도는 빠를 수 있지만 동적으로 웹사이트를 만들거나 js간 순서에 의존적이라면 오류가 날 수 있음.

  • head with defer option
<head>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xxx.js"></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yyy.js"></script>
</head>

js를 병렬적으로 다운받지만 다운받자마자 실행하는 것이 아님. html이 전부 로드된 이후에 실행. 제일 효율적이고 안전한 옵션.


use strict

js는 단 1주일만에 만들어진 언어. 그래서 매우 유연하지만 반대로 위험한 언어. 변수 타입을 선언하지 않고

a = 6;

이런 식의 코드만 있어도 오류가 나지 않음. 하지만 js파일 제일 위에

'use strict';

를 선언하면 a = 6 전에 var a 등의 변수 타입을 선언해주지 않으면 오류가 남. vanila js 등을 배울 때 중요한 요소라고 함.


data type

cf) TDZ(Temporal Dead Zone)
변수는 선언 -> 초기화 -> 할당 단계를 거쳐서 값이 할당된다.
TDZ는 스코프 시작부터 초기화 시작 사이의 구간을 의미한다.
즉, 선언 부분을 포함한다.

var와 같은 경우는 선언과 초기화가 동시에 일어나 TDZ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let, const와 같은 경우 선언과 초기화가 따로 발생하여 TDZ의 영향을 받는다.
JS에서 TDZ는 ReferenceError를 발생시켜 선언 전에 변수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
let, const뿐만 아니라 JS의 classsuper(), 함수의 매개변수 등도 TDZ의 영향을 받는다(<=> var, function).

잘못 알고 있던 부분

let, const는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다? No
아래 예시에서 10이 출력되지 않고 Error가 나는 이유는 let에 호이스팅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 const여도 마찬가지
let a = 10;
{
  console.log(a); // ReferenceError: Cannot access 'a' before initialization
  let a = 20;
}
  1. var vs let(read and write)
    let은 ES6부터 나온 데이터 타입. 과거에는 var를 썼는데, 이는 안전하지 못함. var hoisting(move declaration from bottom to top)이라고 해서 선언이 아래에 있어도 위로 끌어올리면서 일반적인 컴퓨터 언어와 다르게 선언 전에 사용해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음. 또한 var는 block scoping이 되지 않아 지역변수, 전역변수의 개념이 없음. 마지막으로 var는 변수 재선언이 가능함. var a = 1;이라고 선언해놓고 뒤에 가서 var a = 'string';으로 선언해도 에러가 나지 않음. 그 외에 var가 지원했던 기능은 let이 모두 대체가 가능하므로 let을 쓰는 게 옳은 방식.

  2. const(read only)
    변경이 불가능한 immutable함. 보안상의 이유로, thread safety를 위해, 휴먼 에러를 줄이기 위해 사용. 참고로 immutable type에는 object.freeze()로 선언한 데이터도 있음. mutable type에 let이 있다면, const는 그 반대. let과 const만으로 아래 나오는 데이터 타입을 전부 사용할 수 있음.

  3. variable type

    (primitive type)
    primitive type

  • 숫자: number라는 primitive type이 있는데, let만 써도 동적으로 결정됨. 원래는 +-2^53까지만 표현이 가능했는데, 최근에 bigInt형이 생겼는데
const bigInt = 1234124235125123321512n; // 이렇게 뒤에 n만 붙이면 알아서 인식함
console.log(`type: ${typeof bigInt}`); // 데이터 타입을 출력해줌
  • 문자열: string(char과 구분하지 않음). 파이썬처럼 '+' 기호를 통해서 문자열끼리 연결이 가능.
    template literals라고 해서 아래와 같은 식으로도 변수를 연결할 수 있음.
const helloBob = `hi ${variable}!`;
  • boolean: true, false가 있음.
  • null: 값이 들어가있지 않다는 것을 명확히 해줌(empty).
  • undefined: 변수 선언은 되었지만 값이 할당되지 않음. 값이 빈 것인지 값이 지정되지 않은 건지 명확하지 않음.
  • symbol: 주어진 string에 상관없이 고유한 식별값을 가짐. 또는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는 코드에서 우선순위를 주기 위해 사용.
const symbol1 = Symbol('id');
const symbol2 = Symbol('id');
console.log(symbol1 === symbol2); // false

const symbol1 = Symbol.for('id'); // string이 같을 때 동일한 심볼을 가지게 하고 싶다면
const symbol2 = Symbol.for('id');
console.log(symbol1 === symbol2); // true
console.log(symbol1.description); // 이렇게 출력 안 하면 에러가 남

(object type)
obj type

  • object: c의 struct나 python의 dict와 같이 사용. 다만 pointer 같은 느낌.
const human = { name: 'cm', age: 20 };
human.age = 21; // 에러가 나지 않음

human이 가리키는 객체에 대해서는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human.name이나 human.age는 변경이 가능함.

shallow copy vs deep copy

shallow copy는 객체의 주소값만 참조하는 것을 말하고, deep copy는 완전히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어느 포스팅된 글의 표현을 빌리자면 얕은 복사는 한 단계까지만 복사하고, 깊은 복사는 객체에 중첩된 객체까지 모두 복사한다.
당연히 속도는 deep copy가 훨씬 느리다.
파이썬을 예시로 들자면 아래와 같다.

a = [1,2,3]
b = a # shallow copy
b[0] = 100

print(a) # [100,2,3]

-------
from copy import deepcopy

a = [1,2,3]
b = deepcopy(a) # deep copy
b[0] = 100

print(a) # [1,2,3]

js에서 원시값(primitive)은 변경 불가능한 불변의 값을 말한다.
원시값에는 String, Number, undefined, Boolean, Symbol, BigInt 6종류가 존재하고 이것들은 기본적으로 할당만 해도 deep copy가 된다.

let a = 1;
let b = a;
b = 2;
console.log(a); // 1

하지만 object, array 등의 객체는 기본적으로 shallow copy를 한다.
이것들을 deepcopy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12를 참고했다.

// 1. JSON 사용. 속도가 가장 느림.
const obj1 = {...}
const obj2 = JSON.parse(JSON.stringify(obj1));


// 2. 커스텀 재귀 함수 사용
function cloneObject(obj) {
  let result = {};
  for (let key in obj) {
    typeof obj[key] == "object" && obj[key] != null
      ? clone[key] = cloneObject(obj[key])
      :clone[key] = obj[key]
  }

  return result;
}


// 3. lodash의 cloneDeep() 사용
import cloneDeep from lodash/cloneDeep;

const originalObj = {...};
const copiedObj = originalObj;
  1. Dynamic type(c, java: starting typed language)
let text = 'hello';
console.log(text.charAt(0)); // h
console.log('value: ${text}, type: ${typeof text}'); // hello, string
text = 1;
console.log('value: ${text}, type: ${typeof text}'); // 1, number
text = '7' + 5;
console.log('value: ${text}, type: ${typeof text}'); // 75, string
text = '8' / '2';
console.log('value: ${text}, type: ${typeof text}'); // 4, number
console.log(text.charAt(0)); // error

이처럼 js는 run time에 데이터 타입이 결정됨.


string literals

작은 따옴표(')가 아닌 `를 사용하여 console.log를 감싸면 작은 따옴표를 그대로 출력할 뿐만 아니라, $를 사용하여 변수를 부를 수 있음.

console.log(`string literals:
    '''
    1 + 2 = ${1 + 2}`);
// string literals:
// '''
// 1 + 2 = 3

equlity

const stringFive = '5';
const numberFive = 5;
// 1. loose equality, with type conversion
console.log(stringFive == numberFive); // true

// 2. strict equality, without type conversion
console.log(stringFive === numberFive); // false

// 3. object equality by reference
const obj1 = { name: 'aa' };
const obj2 = { name: 'aa' };
const obj3 = obj1;
console.log(obj1 == obj2); // false
console.log(obj1 === obj2); // false
console.log(obj1 === obj3); // true

// example
console.log(0 == false); // true
console.log(0 === false); // false
console.log('' == false); // true
console.log('' === false); // false
console.log(null == undefined); // true
console.log(null === undefined); // false

function(function is a kind of an object in js)

'fucntion.' 하면 여러 속성값이 나온다는 뜻.

  1. rest parameters. 배열 형태로 인자를 전달.
function printAll(...args) {
  for (let i = 0; i < args.length; i++) {
    console.log(args[i]);
  }

  for (const arg of args) {
    console.log(arg); // 위와 결과가 똑같음
  }

  args.forEach((arg) => console.log(arg)); // 동일한 결과
}

printAll('dream', 'coding', 'ellie'); // 세 개 모두 출력.

cf forEach 내부에서 await 사용시 조심할 점
forEach는 async/await으로 선언된 비동기 처리 구문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const wantedGenres = ['로맨스', '판타지'];
let genres = [];
wantedGenres.forEach(async (value, index) => {
  const g = await Genre.findOne({ name: value }); // MongoDB에서 오브젝트 조회
  genres.push(g);
  console.log(`Push ${index}: ${genres}`);
});
console.log(`Done: ` + genres);

// 예상 결과
// Push 0: [{...name: '로맨스'...}]
// Push 1: [{...name: '로맨스'...}, {...name: '판타지'...}]
// Done: [{...name: '로맨스'...}, {...name: '판타지'...}]

// 실행 결과
// Done:
// Push 0: [{...name: '로맨스'...}]
// Push 1: [{...name: '로맨스'...}, {...name: '판타지'...}]

// 해결방법 1. for (const/let variable of, in iterableObject) 사용

// 해결방법 2. Promise.all() 사용
let genres = [];
const promises = wantedGenres.map(async (value, index) => {
  const g = await Genre.findOne({ name: value });
  genres.push(g);
});
await Promise.all(promises);
  1. return
    return 을 명시하지 않으면 모든 함수 끝에는 return undefined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 python과 마찬가지로 함수 앞에 어떤 type을 return할 것인지 함수 선언에서 명시하지 않음.

  2. first class function
    js에서 함수는 자동으로 hoisting됨. 즉 c에서 함수 선언만 main보다 위에서 한 것과 같은 것처럼, 함수 body가 함수 호출보다 아래 있어도 해당 함수를 사용 가능하다는 말임
    함수는 또 다른 변수로 취급됨. 변수에 값을 할당할 수 있으며, 함수의 인자로 전달될 수도 있고, 또 다른 함수의 return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

const print = function () {
  // anonymous function(function 이름이 필요 없음)
  console.log('print');
};
print(); // print를 출력
const printAgain = print;
printAgain(); // print를 출력
  1. Arrow function
    항상 anonymous function임.
const simplePrint = () => console.log('simplePrint!');
const simplePrint2 = function () {
  console.log('simplePrint2!');
};

const add = (a, b) => a + b; // 다만 줄이 길어져서 {}로 감싸게 되면 arrow function도 return을 명시해줘야 함
const add2 = function (a, b) {
  return a + b;
};
  1. IIFE: Immediately Invoked Function Expression
(function hello() {
  console.log('IIFE');
})(); // 선언함과 동시에 호출

class

  1. getter and setter
class User {
  constructor(firstName, lastName, age) {
    this.firstName = firstName;
    this.lastName = lastName;
    this.age = age;
  }

  get age() {
    return this._age;
  }

  set age(value) {
    // if (value < 0){
    // 	throw Error('negative');
    // }
    this._age = value < 0 ? 0 : value;
  }
}

const user1 = new User('Steve', 'Jobs', -1);
console.log(user1.age);

누누이 얘기했듯이 js는 interpreter처럼 작동. constructor에서 this.age = age; 라는 부분이 쓰이면 object가 생성되길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this.age'는 get을 '= age;'는 set을 부르게 됨.
만약 getter와 setter에서 this._age가 아닌 this.age를 썼다면 다시 this.age = value;는 getter와 setter를 호출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callstack이 다 찼다는 에러 메시지가 나옴.

  1. public, private
class Experiment {
  publicField = 2;
  #privateField = 0;
}
const experiment = new Experiment();
console.log(experiment.publicField); // 2
console.log(experiment.privateField); // undefined
  1. static(c에서와 같음)
class Article {
  static publisher = 'aa';
  constructor(aricleNumber) {
    this.articleNumber = articleNumber;
  }

  static printPublisher() {
    console.log(Article.publisher);
  }
}
const article1 = new Article(1);
const article2 = new Article(2);

console.log(article1.publisher); // undefined
console.log(Article.publisher); // aa
Article.printPublisher(); // aa

참고로 static을 사용하는 것은 method를 property 형태로 직접 할당하는 것과 같으며 static 메서드 내부에서 사용하는 this는 클래스 생성자(아래에서는 User)과 같다(syntax sugar 같지만 MDN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부분이 아니다).
또한 static으로 선언한 method나 property들도 상속이 되며 prototype chainig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class User {
  static staticMethod() {}
}

// 위와 아래가 근본적으로는 같다

class User {}
User.staticMethod = function () {};
  1. 상속: extends를 활용
  2. 부모 것 call: super 활용
  3. 인스턴스인지 확인: 객체 instanceOf 클래스이름 으로 활용

object

  1. computed property를 사용하는 경우
const user1 = { name: 'cm', age: 25 };

console.log(user1.name); // cm
console.log(user1['name']); // cm

function printValue1(obj, key) {
  console.log(obj.key);
}

function printValue2(obj, key) {
  console.log(obj[key]);
}

printValue1(user1, 'name'); // undefined -> user1에는 key라는 key property가 없으므로
printValue2(user1, 'name'); // cm
  1. property value shorthand
const person1 = { name: 'bob', age: 2 };
const person2 = { name: 'steve', age: 3 };
// 반복하기 귀찮으므로 함수 생성

function makePerson(name, age) {
  return {
    name, // name = name; 해줄 필요가 없음
    age,
  };
}
const person3 = makePerson('cm', 25);
  1. constructor function
const person1 = { name: 'bob', age: 2 };
const person2 = { name: 'steve', age: 3 };
// 반복하기 귀찮으므로 함수 생성

function Person(name, age) {
  // this = {}; 생략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return this; 생략
}
const person3 = new Person('cm', 25);
  1. in
    key가 해당 object에 있는지 확인. python에서 쓰는 것과 같음.

  2. for..in vs for..of

const obj = { name: 'blabla', age: 2222 };
for (const key in obj) {
  // key in obj
  console.log(key); // name, age
}

const array = [1, 2, 4, 5];
for (const value of array) {
  // value of iterable
  console.log(value); // 1, 2, 4, 5
}

참고
JS에서 Array는 index를 key 값으로 가지는 특수한 형태의 객체이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진다.

for (const key in [1, 2, 3]) {
  console.log(key, typeof key);
  // 0, string
  // 1, string
  // 2, string
}

index로 기존 array에 접근해야 한다면 parseIntkey를 number 타입으로 바꾼 다음 접근할 수 있지만 가독성이 떨어진다.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이를 해결할 수 있다.

for (const [index] of [1, 2, 3].entries()) {
  console.log(index, typeof index);
  // 0, number
  // 1, number
  // 2, number
}
  1. assign과 overwrite
const fruit1 = { color: 'red' };
const fruit2 = { color: 'blue', size: 'big' };
const mixed = Object.assign({}, fruit1, fruit2);
console.log(mixed.color); // blue
console.log(mixed.size); // big

array

  1. 배열 전체 출력 3가지 방법
for (let i = 0; i < fruits.length; i++) {
  console.log(fruits[i]);
}
for (let fruit of fruits) {
  console.log(fruit);
}
fruits.forEach((fruit) => console.log(fruit));

// for Each API
// forEach(callbackfn: value: T, index: number, array: T[]) => void, thisArg?: any : void;
// ?는 있어도, 없어도 된다는 의미, array는 보통 인자로 넣어주지 않음
  1. add, delete, copy
fruits.push('apple', 'orange'); // 배열 뒤에 추가

fruits.pop(); // 배열 뒤에서 삭제
fruits.pop();

// slower than the above APIs
fruits.unshift('apple', 'orange'); // 배열 앞에 추가

fruits.shift(); // 배열 앞에서 삭제
fruits.shift();

// rm an item by index position
// splice는 배열 자체를 수정, slice는 배열에서 원하는 부분만 가져옴
fruits.push('apple', 'orange');
fruits.splice(2); // 시작 인덱스, 몇 개 지울지(optional) => 앞에 두 개의 인자 빼고 전부 지움
fruits.splice(1, 1, 'watermelon', 'strawberry'); // 지운 뒤에 수박과 딸기를 추가

// combine two arrays
fruits2 = ['mango', 'banana'];
const newFruits = fruits.concat(fruits2);
  1. search
console.log(fruits.indexOf('apple')); // return the first matched fruit's index
console.log(fruits.includes('apple')); // return boolean
console.log(fruits.lastIndexOf('apple')); // return the last matched fruit index
  1. find
const result = fruits.find((fruit, index) => {
  return fruit.name === 'apple'; // find는 true를 return 하게 되면 즉시 찾는 것을 멈춤
});
console.log(result); // apple을 포함한 fruit object가 출력
  1. filter
const result = students.filter((student) => student.enrolled);
console.log(result); // enrolled === true인 애들만 출력
  1. map
const result = students.map((student) => student.score);
console.log(result); // students의 점수 하나의 배열로 만들어져서 출력
  1. some, every
const result = students.some((student) => student.score < 50);
console.log(result); // true / false 학생들 중에 점수가 50점 미만인 애가 있으면 true 아니면 false

const result2 = students.every((student) => student.score < 50);
console.log(result2); // true / false 모든 학생들 점수가 50점 미만이면 true 아니면 false
  1. reduce
const result = students.reduce((prev, curr) => {
  console.log('----');
  console.log(prev);
  console.log(curr);
  return curr; // reduce는 curr 값이 prev로 다시 들어가서 호출됨
});

const result2 = students.reduce((prev, curr) => {
  console.log('----');
  console.log(prev);
  console.log(curr);
  return prev + curr.score;
}, 0); // prev 초기값 설정
console.log(result); // 학생들 점수의 합이 출력됨

// reduceRight은 배열의 뒤에서부터 시작함

json

  1. simplest data interchange format
  2. lightweight text-based structure
  3. easy to read
  4. key-value pairs
  5. used for serialization and transmission of data between the network
  6. independent programming language and platform

object to string: serialization
string to object: deserializaion

// serialization
let json = JSON.stringify(true);
console.log(json);

json = JSON.stringify(['apple', 'banana']);
console.log(json);

const rabbit = {
  name: 'tori',
  color: 'white',
  size: null,
  birthDate: new Date(),
  symbol: Symbol('id'), // js에만 있는 데이터 타입으로, json 형태로 변형되지 않음
  jump: () => {
    // object에 있는 데이터가 아니기 때문에 json 형태로 변형되지 않음
    console.log(`${name} can jump!`);
  },
};
json = JSON.stringify(rabbit);
console.log(json);

json = JSON.stringify(rabbit, ['name', 'color']);
console.log(json); // rabbit object에서 name과 color만 json 형식으로 변형됨

json = JSON.stringify(rabbit, (key, value) => {
  console.log(`key: ${key}, value: ${value}`);
  return value;
  // return key === 'name' ? 'ellie' : value;
});
console.log(json);

// deserialization
const obj = JSON.parse(json);
console.log(obj);

rabbit.jump();
obj.jump(); // error
console.log(rabbit.birthDate.getDate());
console.log(obj.birthDate); // type: string

obj = JSON.parse(json, (key, value) => {
  console.log(`key: ${key}, value: ${value}`);
  return key === 'birthDate' ? new Date(value) : value;
});
console.log(obj.birthDate.getDate()); //  not error

callback

js는 synchronous한 언어이다. 코드는 hoisting이 된 이후에 작성한 순서대로 실행이 된다는 뜻이다.
asynchronous(sleep과 같은 것처럼)라면 순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어떤 순서대로 실행될지 감이 안 잡힌다.

console.log(1);
setTimeout(() => {
  console.log(2);
}, 1000); // 1000ms
console.log(3);
// 1 3 2 순으로 출력

콜백함수(callback function): 파라미터로 함수를 전달하는 함수.
콜백도 synchronous와 asynchronous로 나뉨.

function printImmediately(print) {
  print();
}
printImmediately(() => console.log('hello'));

function printWithDelay(print, timeout) {
  setTimeout(print, timeout);
}
printWithDelay(() => console.log('hello2'), 2000);

callback 지옥 체험

class UserStorage {
  loginUser(id, password, onSuccess, onError) {
    setTimeout(() => {
      if (
        (id === 'ellie' && password === 'dream') ||
        (id === 'coder' && password === 'academy')
      )
        onSuccess(id);
      else onError(new Error('not found'));
    }, 1000);
  }

  getRoles(user, onSuccess, onError) {
    setTimeout(() => {
      if (user === 'ellie') onSuccess({ name: 'ellie', role: 'admin' });
      else onError(new Error('no access'));
    }, 500);
  }
}

const userstorage = new UserStorage();
const id = prompt('enter your id');
const password = prompt('neter your password');
userstorage.loginUser(
  id,
  password,
  (user) => {
    userstorage.getRoles(
      user,
      (userWithRole) => {
        alert(
          `Hello ${userWithRole.name}, you have a ${userWithRole.role} role`
        );
      },
      (error) => {
        console.log(error);
      }
    );
  },
  (error) => {
    console.log(error);
  }
);

promise

비동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오브젝트. 정해진 장시간의 기능을 수행하고 나서 정상적으로 수행했다면 성공 메시지와 함께 결과값을 전달. 만약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다면 에러 전달.
promise의 state. pending -> fulfilled or rejected.
promise의 object. Producer와 Consumer가 있음.

// Producer
// Promise object가 생성되자마자, executor는 자동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이를 항상 염두해야 함
const 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 executor라는 콜백 함수는 resolve와 reject 콜백을 전달받음
  // doing some heavy work(network, read files)
  console.log('doing something...');
  setTimeout(() => {
    resolve('ellie');
    // reject(new Error('no network'));
  }, 2000);
});

// Consumer: then, catch, finally
promise
  .then((value) => {
    // promise가 정상적으로 수행된다면 executor 값을 받아올거야
    console.log(value);
  })
  .catch((error) => {
    // Error 값을 받아옴
    console.log(error);
  })
  .finally(() => {
    // 무조건 실행
    console.log('finally');
  });

// Promise chaining
const fetchNumber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resolve(1), 1000);
});

fetchNumber
  .then((num) => num * 2)
  .then((num) => num * 3)
  .then((num) =>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resolve(num - 1), 1000);
    });
  })
  .then((num) => console.log(num));

// Error Handling
const getHen = ()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resolve('hen'), 1000);
  });
const getEgg = (hen)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 setTimeout(() => resolve(`${hen} => egg`), 1000);
    setTimeout(() => reject(new Error(`error! ${hen} => egg`)), 1000);
  });
const cook = (egg)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resolve(`${egg} => fried egg`), 1000);
  });

getHen()
  .then((hen) => getEgg(hen)) // 1가지만 인자로 받을 경우 .then(getEgg) 만 써도 됨
  .then((egg) => cook(egg))
  .then((meal) => console.log(meal))
  .catch(console.log); // 마찬가지로 console.log만 써도 됨
// catch 위치에 따라 에러가 떠도 최종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음. catch 위치 조정에 신경

async, await

// 1. async
async function fetchUser() {
  return 'ellie';
}

function fetchUser2()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resolve('ellie');
  });
}
// 위 두 함수는 같은 결과를 가짐

const user = fetchUser();
user.then(console.log);
console.log(user);

// 2. await
// async가 붙은 함수 안에서만 쓸 수 있는 키워드

function delay(ms) {
  return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resolve, ms));
}

async function getApple() {
  await delay(1000); // delay가 끝날 때까지 return을 하지 않음
  return '🍎';
}

async function getBanana() {
  await delay(1000);
  return '🍌';
}

function getBanana2() {
  return delay(1000).then(() => '🍌');
}

function pickFruits() {
  return getApple().then((apple) => {
    return getBanana().then((banana) => `${apple} + ${banana}`);
  });
}
pickFruits().then(console.log);

async function pickFruits2() {
  const apple = await getApple();
  const banana = await getBanana();
  return `${apple} + ${banana}`;
}
pickFruits2().then(console.log);

// 3. async를 병렬적으로 처리
async function pickFruits3() {
  const applePromise = getApple(); // promise obj는 변수를 만드는 순간 바로 실행됨
  const bananaPromise = getBanana();
  const apple = await applePromise;
  const banana = await bananaPromise;
  return `${apple} + ${banana}`;
}

copy

JS의 object의 값은 힙에 저장되어 있고 변수는 대부분 그 힙에 저장된 주소값을 가리킨다.
따라서 일반적인 할당 방법으로 변수를 copy할 경우 shallow copy, 즉 얕은 복사만 된다.

깊은 복사를 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1. Object.assign()
const obj = { a: 1 };
const newObj = Object.assign({}, obj);

newObj.a = 2;

console.log(obj); // { a: 1 }
console.log(obj === newObj); // false

// 주의. 2차원 객체는 깊은 복사가 이루어지지 않음
const obj = {
  a: 1,
  b: {
    c: 2,
  },
};

const newObj = Object.assign({}, obj);

newObj.b.c = 3;

console.log(obj); // { a: 1, b: { c: 3 } }
console.log(obj.b.c === newObj.b.c); // true
  1. spread 연산자
const obj = { a: 1 };
const newObj = Object.assign({}, obj);

newObj.a = 2;

console.log(obj); // { a: 1 }
console.log(obj === newObj); // false

// 주의. 2차원 객체는 깊은 복사가 이루어지지 않음
const obj = {
  a: 1,
  b: {
    c: 2,
  },
};

const newObj = { ...obj };

newObj.b.c = 3;

console.log(obj); // { a: 1, b: { c: 3 } }
console.log(obj.b.c === newObj.b.c); // true

아래부터는 2차원 이상의 객체도 깊은 복사가 가능하다.

  1. JSON 객체 이용(아래 나오는 깊은 복사 중에서 제일 느림)
const obj = {
  a: 1,
  b: {
    c: 2,
  },
};

const newObj = JSON.parse(JSON.stringify(obj));

newObj.b.c = 3;

console.log(obj); // { a: 1, b: { c: 2 } }
console.log(obj.b.c === newObj.b.c); // false
  1. 재귀 함수 이용
function deepCopy(obj) {
  if (obj === null || typeof obj !== 'object') {
    return obj;
  }

  const copy = {};
  for (const key in obj) {
    copy[key] = deepCopy(obj[key]);
  }

  return copy;
}

const obj = {
  a: 1,
  b: {
    c: 2,
  },
  func: function () {
    return this.a;
  },
};

const newObj = deepCopy(obj);

newObj.b.c = 3;
console.log(obj); // { a: 1, b: { c: 2 }, func: [Function: func] }
console.log(obj.b.c === newObj.b.c); // false
  1. lodash의 cloneDeep() 이용
const lodash = require('lodash');

const obj = {
  a: 1,
  b: {
    c: 2,
  },
  func: function () {
    return this.a;
  },
};

const newObj = lodash.cloneDeep(obj);

newObj.b.c = 3;
console.log(obj); // { a: 1, b: { c: 2 }, func: [Function: func] }
console.log(obj.b.c === newObj.b.c); // false

property

method property

// ES5. 메서드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함수 선언식이 필요

var obj = {
  name: 'Lee',
  sayHi: function () {
    console.log('Hi! ' + this.name);
  },
};

obj.sayHi(); // Hi! Lee

new obj.sayHi(); // sayHi {}

// function 키워드 생략한 축약 표현
// ES6 메서드 축약표현만 메서드로 인정

const obj2 = {
  name: 'Lee',
  sayHi() {
    console.log('Hi! ' + this.name);
  },
};

obj2.sayHi(); // 일반함수 호출: Hi! Lee
// 메소드는 non-constructor이므로 생성자 함수로 호출할 수 없다
// new obj2.sayHi(); // Uncaught TypeError: obj.sayHi is not a constructor
console.dir(obj);
console.dir(obj2);

objobj2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메서드 축약 표현

obj2의 '...'은 getter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클릭했을 때 알 수 있다.
여기서는 TypeError: 'caller', 'callee', and 'arguments' properties may not be accessed on strict mode functions or the arguments objects for calls to them at Function.invokeGetter (<anonymous>:3:28) 에러가 난다.

Object.defineProperty

MDN에 따르면 이 메서드는 객체에 새로운 속성을 직접 정의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속성을 수정한 후, 해당 객체를 반환한다.

Object.defineProperty(obj, prop, descriptor)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

  • obj는 속성을 정의할 객체
  • prop은 새로 정의하거나 수정하려는 속성의 이름 또는 Symbol
  • descriptor는 새로 정의하거나 수정하려는 속성을 기술하는 객체
  • value는 속성에 연관된 값. 기본값은 undefined
  • get은 속성 접근자로 사용되는 함수
  • set은 속성의 설정자로 사용되는 함수
  • returns: 속성이 적용된 obj

일반적인 literal notatoin으로 객체를 선언하면 자동으로 enumerableconfigurable, writable 속성이 true로 설정된다.

이와 달리 defineProperty를 지정하면 이를 조정할 수 있다.

enumerable: true면 값을 for...in문 등의 방법으로 열거할 수 있다.
configurable: true면 delete 등을 사용하여 속성을 삭제하거나 속성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writable: true면 추후에 할당 연산자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const object1 = {};

Object.defineProperty(object1, 'property1', {
  value: 42,
  writable: false,
});

object1.property1 = 77;
// throws an error in strict mode

console.log(object1.property1);
// expected output: 42

Object.defineProperties()

한 번에 여러 property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인자들은 거의 비슷하며 사용법만 약간 다르다.

const object1 = {};

Object.defineProperties(object1, {
  property1: {
    value: 42,
    writable: true,
  },
  property2: {},
});

console.log(object1.property1);
// expected output: 42
profile
개인 깃헙 repo(https://github.com/mochang2/development-diary)에서 이전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