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nio-service 상태를 확인해봅시다.
- minio는 보통 900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minikube service list
![](https://media.vlpt.us/images/moey920/post/a4f7d0fb-40db-4762-aded-ceb90f2a3fa4/image.png)
- minio-service의 서비스 타입을 LoadBalancer로 노출해줍니다.
- 이전에 Minikube의 MetalLB addons가 활성화 되어있고, IP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부분은 이전 포스팅에서도 여러번 기록해두었으니 확인바랍니다.
kubectl patch service -n kubeflow minio-service -p '{"spec": {"type": "LoadBalancer"}}'
-
서비스의 External-IP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합니다.
m service list
![](https://media.vlpt.us/images/moey920/post/6279d17d-656d-4c3c-96d7-c5fc0aad781b/image.png)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접근 가능한 ssh 포트를 열어줍니다.
- 이전에 Minikube를 생성한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포트를 포트포워딩으로 열어두어야 합니다. 이 부분도 이전 포스팅에서 여러번 언급했으니 넘어가겠습니다.
- Kubeflow는 2464포트를 사용하고 있으니, 2465포트도 ssh 포트를 열어줍니다. 외부포트에 범위로 지정해도 상관없습니다만, 저는 알아보기 편하게 나눠서 저장했습니다.
![](https://media.vlpt.us/images/moey920/post/bae4d96b-d66d-40bb-af1f-f70bff3595c7/image.png)
- minio service의 EXTERNAL-IP를 확인합니다.
- 192.168.0.245번에 열렸군요! (저는 MetalLB IP 설정을 244~248번으로 잡아두었습니다, 244번이 istio-ingressgateway에 할당되어 있으니 245번으로 할당된 것입니다)
kubectl get services -n kubeflow
![](https://media.vlpt.us/images/moey920/post/38c5ab78-55ee-429c-bd00-bdee287b6c26/image.png)
-
이제 서버로 접근할 ssh포트도 열어두었고, EXTERNAL-IP도 얻었으니 로컬 포트포워딩으로 접근해봅시다.
ssh -L 2465:192.168.0.245:9000 sysadmin@175.209.190.39 -p 2465
![](https://media.vlpt.us/images/moey920/post/06ba49c8-5db8-4eb9-83e7-f6dbdd24fbac/image.png)
-
이제 서버 내 minikube의 minio 서비스를 내 로컬 호스트에서 local:2465 주소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https://media.vlpt.us/images/moey920/post/a7efb464-db9c-415a-b77f-8769dffb41a7/image.png)
참고로 Kubeflow를 통해 설치되는 minio의 초기 ID/PW는 minio/minio123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