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웹에 대해 먼저 다뤄보고자 한다.
HTML과 CSS 그리고 Java Script를 배우긴 했지만, 웹에 대해 다룰때가 되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물론 과제가 있는것도 사실이지만 말이다.
해당 포스트는 이곳을 보고 작성 하였다.
그럼 우선 브라우저가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도록 하자.
브라우저의 사전적인 정의는
요약 : 인터넷에서 웹서버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게 해줄 뿐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문서 검색을 도와주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웹 페이지 열기, 최근 방문한 인터넷 주소(URL)의 목록 제공, 자주 방문하는 URL 기억 및 관리, 웹 페이지의 저장 및 인쇄 등의 기능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브라우저 browser
즉 웹의 정보를 볼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동시에 하이퍼텍스트 즉 HTML로 이루어진 문서의 검색을 돕는 프로그램인것이다.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정보를 요청하면, 브라우저는 다시 정보가 저장 되어 있는 저장고, 서버에 요청을 보낸다.
서버에서 넘어 온 정보는 우리가 원하는 방식의 정보가 아니기때문에, 브라우저가 다시 번역해서 우리에게 보여주는것이다.

브라우저는 위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하나하나 찾아보자면,
렌더링은 요청 받은 정보를 브라우저에 표시해주는 동작을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정보는 HTML과 XML이고, 추가로 확장프로그램등을 사용하여 pdf 이미지등 다른 정보도 볼 수 있다.
이 렌더링이 가능한 엔진은 대표적으로 파이어폭스에 사용 되는 게코(gecko)엔진과 사파리, 크롬에 사용 되는 웹킷(web-kit)엔진이 있다.

이 렌더링 과정은 생성 과정이 끝나고 배치가 진행되는데, 이 과정은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때문에 우리가 보는 웹페이지는 로딩 후 한번에 표시 되는것이 아니라 서서히 로딩 되면서 나타나는것처럼 보이는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