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검색 : O(N)
이진검색 : O(logN)
탐색의 범위가 2000만이 넘어가면 이진탐색으로 문제에 접근해보는게 좋다. 또한 처리해야할 데이터 양이 1000만 단위 이상 넘어가면 이진탐색과 같이 logN의 속도를 내야하는 알고리즘을 떠올려야 문제를 풀 수 있는 경우가 많다.
N^2을 했을 때 억단위로 넘어가면 한번 이진 탐색을 생각해봐야한다.
시간복잡도 : 컴퓨터는 1초에 1억번의 연산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시간복잡도는 계산해야한다.
공간복잡도 : int형은 4byte, char형은 1byte를 기준으로 최대로 사용하는 메모리를 기준으로 계산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