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데이터타입 | 설명 |
---|---|---|
원시타입 | 숫자타입 | 숫자, 정수와 실수 구분없이 하나의 숫자 타입만 있음. |
문자열 타입 | 문자열 | |
불리언 타입 | 논리적 참과 거짓 | |
undefined 타입 |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암묵적으로 할당되는 값 | |
null 타입 | 값이 없음을 의도적으로 명시 | |
심벌 타입 | ES에서 추가된 타입 | |
객체타입 | 객체, 함수, 배열 등... |
`
1. 숫자타입
` `
로 텍스트를 감싸며 일반적인 표기법은 ‘ ‘ 을 사용하는 것이다.데이터 타입의 필요성
1. 데이터 타입에 따라 확보해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
2. 값을 참조할 때 한 번에 읽어 들여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기 때문.
3. 읽어 들인 2진수를 어떻게 해석할지 결정하기 위함.
동적 타이핑 - 자바 스크립트의 변수는 선언이 아닌 할당에 의해 타입이 결정되며, 재할당에 의해 변수의 타입은 언제든지 동적으로 변함.
동적 타입 언어 ->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PHP, 루비, 리스프, 펄 등..
변수 사용 시 주의할 사항
1.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해 제한적으로 사용. 변수의 개수가 많을수록 오류의 발생 확률도 증가.
2. 변수의 유효 범위를 최대한 좁게 만들어 부작용을 억제해야함. 유효 범위 넓을 경우 오류 발생확률 증가.
3. 전역 변수의 사용을 최대한 지양, 의도치 않게 값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고 다른 코드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높아 프로그램의 복잡성을 증가, 처리 흐름을 추적하기 어렵게 하며, 오류의 원인을 특정하기도 어려움.
4. 변수보다는 상수를 사용해 값의 변경을 억제
5. 변수 이름은 변수의 목적이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네이밍 해야 함.. 변수 이름 뿐 아니라 모든 식별자는 존재 이유를 파악할 수 있는 이름으로 지어야 한다.
6. 기독성이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