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로드중.. 클로저 > : 함수가 선언될 때의 스코프를 기억하여, 함수가 생성된 이후에도 그 스코프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 스코프 (Scope): 단어 그대로 범위라는 의미를 가짐, 변수에 접근 할 수 있는 범위 > 클로저는 자바스크립트의 함수가 일급 객체라
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는 이미지 포맷, 사진과 같이 복잡한 색상과 그라데이션이 있는 이미지에 적합하다. 장점파일 크기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단점 이미지를 저장할 때마다 데이터가 손실되어 화질이 점점 나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무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는 이미지
content-box는 box-sizing 속성의 기본값적용시 요소의 width와 height 값의 내용 영역만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 width와 heigth는 요소의 실제 콘텐츠 크기만을 정의하고, 그 안에 추가되는 padding과 border는 크기에 포함되
: 브라우저 대신 외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 역할을 대리 수행하는 서버.브라우저 측에서 직접 외부 서버에 요청을 보내지 않고, 클라이언트와 동일한 origin의 프록시 서버를 통해 요청을 보내면 SOP의 제한을 피할 수 있다. : 서로 다른 출처라도 리소스
: 지속적인 통합 → 개발자들이 코드 변경사항을 주기적으로 메인 브랜치에 병합하는 과정을 자동화 한 것. → 코드 변경 사항이 발생할 때 마다 자동으로 빌드와 테스트를 수행하여 문제를 조기에 발견 할 수 있다. : 지속적 전달 or 지속적 배포 → CI 이후 단계를
선호하는 이유 ? 성능이 중요한 상황 (ex: 모바일 환경)→ 브라우저의 composite 단계에서 실행 → reflow나 repaint를 유발하지 않아 성능 상 이점이 있다.애니메이션이나 빈번한 위치 변경이 필요할 때다른 요소의 레이아웃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할 때정
: 가상의 z축을 상정하여 HTML 요소들을 3차원으로 개념화 한 것.요소들이 쌓이는 순서에 영향을 미친다. → HTML 요소는 DOM 순서에 따라 쌓인다.→ position 속성이 적용 되어 있는 요소들은 z-index 값이 낮을수록 아래쪽으로, 높을수록 위쪽으로 쌓
: 외부 리소스와의 연결을 돕는 요소, rel 속성 값인 preconnect , preload, prefetch는 리소스 로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로드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 브라우저가 특정 origin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미리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브라우저 간의 스타일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CSS 파일 장점 : 완전한 스타일 통일 단점 : 모든 요소를 초기화 하기 때문에, 스타일을 새로 작성해야한다. 사용 예시 : 디자인 시스템과 같이 모든 것을 직접 스타일링 하는 것이 중요한 상황 장점 : 모든 요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