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는 의존성 주입으로, 하나의 소스 코드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다른 구현체로부터 주입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자바 클래스로 도서와 관련된 객체를 생성하였다.get()과 set(), toString()을 생성해 주었다.이제 xml에서 Bean을 생성, 주입해 준다
프러퍼티는 set 메서드가 없으면 에러가 난다. scope를 안 써 주면 기본인 싱글톤으로 생성된다. destory 메서드는 출력되지 않는다. init 메서드는 메서드가 종료된 후에 실행되기 때문이다.  지원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지원 MVC
설치하기https://projectlombok.org/download를 통해 설치하거나, Maven을 통해 설치할 수 있다.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를 받을 경우에는 터미널을 통해 파일을 다운로드한 경로(cd downloads)로 이동하고 java -jar lomb
pom.xml 파일에 오라클 설치 구문 추가하여 설치하기 (Maven project update) WEB/INF에 본인에게 맞는 ojdbc jar 파일 추가하기 (꼭 WEB/INF가 아니어도 된다) Jsp 파일 열어서 오류 없는지 확인해 보기 사이트에서 파일을 전송
웹 브라우저에서 Servlet에게 요청을 보내고 해당 Serclet이 요청을 처리하고 결과를 HttpServletRequest에 저장한다.Servlet은 결과가 저장된 HttpServletRequest와 응답을 위한 HttpServletResponse를 같은 웹 어플리
m1 맥북에서 오라클 클라우드를 통해 전자지갑으로 jdbc를 연결하였다.jsp도 연결이 잘 되었었는데 spring으로 넘어와 연결을 하니 연결이 되지 않아 장장 16시간 동안 검색을 해서 찾아 봐도 해결이 안 됐다.알고 보니 jdk 버전 문제였어서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Controller에 @ResponseBody가 추가된 것으로 Json 형태로 객체 데이터를 반환할 때 사용한다.@Controller는 Model을 만들어 데이터를 담아 view를 찾는 것이지만 @RestController는 객체만을 반환하고 객체 데이터는 J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