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Lv0 - 전국 대회 선발 고사

Moon·2025년 6월 26일
0
post-thumbnail

전국 대회 선발 고사

문제 설명

0번부터 n - 1번까지 n명의 학생 중 3명을 선발하는 전국 대회 선발 고사를 보았습니다. 등수가 높은 3명을 선발해야 하지만, 개인 사정으로 전국 대회에 참여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어 참여가 가능한 학생 중 등수가 높은 3명을 선발하기로 했습니다.

각 학생들의 선발 고사 등수를 담은 정수 배열 rank와 전국 대회 참여 가능 여부가 담긴 boolean 배열 attendance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전국 대회에 선발된 학생 번호들을 등수가 높은 순서대로 각각 a, b, c번이라고 할 때 10000 × a + 100 × b + c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3 ≤ rank의 길이 = attendance의 길이 ≤ 100
  • rank[i]는 i번 학생의 선발 고사 등수를 의미합니다.
  • rank의 원소는 1부터 n까지의 정수로 모두 서로 다릅니다.
  • attendance[i]는 i번 학생의 전국 대회 참석 가능 여부를 나타냅니다.
    • attendance[i]가 true라면 참석 가능, false면 참석 불가능을 의미합니다.
  • attendance의 원소 중 적어도 3개는 true입니다.

입출력 예

rankattendanceresult
[3, 7, 2, 5, 4, 6, 1][false, true, true, true, true, false, false]20403
[1, 2, 3][true, true, true]102
[6, 1, 5, 2, 3, 4][true, false, true, false, false, true]5020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예제 1번에서 1등은 6번 학생이지만 전국 대회에 참석 불가능하므로 넘어갑니다. 2등은 2번 학생이고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1순위로 선발됩니다. 3등은 0번 학생이고 전국 대회에 참석 불가능 하므로 넘어갑니다. 4등과 5등은 각각 4번, 3번 학생이고 두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각각 2순위, 3순위로 선발됩니다. 3명을 선발하였으므로 6등과 7등은 확인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10000 × 2 + 100 × 4 + 3 = 20403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 예제 2번에서 1, 2, 3등은 각각 0번, 1번, 2번 학생이고 세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각각 1순위, 2순위, 3순위로 선발됩니다. 따라서 10000 × 0 + 100 × 1 + 2 = 102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 예제 3번에서 1, 2, 3등은 각각 1번, 3번, 4번 학생이지만 세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불가능합니다. 다음으로 4, 5, 6등은 각각 5번, 2번, 0번 학생이고 세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각각 1순위, 2순위, 3순위로 선발됩니다. 따라서 10000 × 5 + 100 × 2 + 0 = 50200을 return 합니다.

코드

/**
 * 전국 대회 선발 고사 - 다양한 풀이법 비교
 */

// ============================================
// 방법 1: 함수형 프로그래밍 (추천 ⭐⭐⭐)
// ============================================
function solution1(rank, attendance) {
  /**
   * 함수형 접근법의 장점:
   * - 체이닝으로 한 번에 읽기 쉬움
   * - 각 단계가 명확하게 분리됨
   * - 불변성을 유지하며 데이터 변환
   */
  return rank
    .map((rankValue, studentIndex) => ({ rankValue, studentIndex })) // 1. 학생 정보 객체화
    .filter((student) => attendance[student.studentIndex]) // 2. 참석 가능한 학생만 필터링
    .sort((a, b) => a.rankValue - b.rankValue) // 3. 등수 기준 오름차순 정렬
    .slice(0, 3) // 4. 상위 3명만 선택
    .reduce((result, student, index) => {
      // 5. 최종 계산
      const multiplier = [10000, 100, 1][index]; // 각 순위별 가중치
      return result + student.studentIndex * multiplier;
    }, 0);
}

// ============================================
// 방법 2: 직관적인 배열 활용 (이해하기 쉬움 ⭐⭐)
// ============================================
function solution2(rank, attendance) {
  /**
   * 직관적 접근법의 장점:
   * - 코드 흐름이 명확함
   * - 초보자도 이해하기 쉬움
   * - 디버깅이 용이함
   */
  const attendableStudents = [];

  // 참석 가능한 학생들의 정보를 수집
  for (let i = 0; i < rank.length; i++) {
    if (attendance[i]) {
      attendableStudents.push({
        studentNumber: i,
        rank: rank[i],
      });
    }
  }

  // 등수 기준으로 정렬 (낮은 등수 = 높은 순위)
  attendableStudents.sort((a, b) => a.rank - b.rank);

  // 상위 3명의 학생 번호로 결과 계산
  const [first, second, third] = attendableStudents;
  return (
    first.studentNumber * 10000 +
    second.studentNumber * 100 +
    third.studentNumber
  );
}

// ============================================
// 방법 3: 원라이너 (간결함 ⭐)
// ============================================
function solution3(rank, attendance) {
  /**
   * 원라이너 접근법:
   * - 매우 간결함
   * -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극치
   * - 가독성은 떨어질 수 있음
   */
  return rank
    .map((r, i) => [r, i])
    .filter(([, i]) => attendance[i])
    .sort(([a], [b]) => a - b)
    .slice(0, 3)
    .reduce(
      (sum, [, studentNum], idx) => sum + studentNum * [10000, 100, 1][idx],
      0
    );
}

// ============================================
// 방법 4: Map 사용 (기존 방법)
// ============================================
function solution_original(rank, attendance) {
  const rankMap = new Map();
  for (let i = 0; i < rank.length; i++) {
    if (attendance[i]) {
      rankMap.set(rank[i], i);
    }
  }
  const sortedRank = Array.from(rankMap.entries()).sort((a, b) => a[0] - b[0]);
  return sortedRank[0][1] * 10000 + sortedRank[1][1] * 100 + sortedRank[2][1];
}

// ============================================
// 성능 비교 및 테스트
// ============================================

/**
 * 추천하는 해결법: solution1 (함수형 프로그래밍)
 *
 * 이유:
 * 1. 가독성이 좋음 - 각 단계가 명확히 보임
 * 2. 유지보수 용이 - 각 체이닝 단계를 독립적으로 수정 가능
 * 3. 모던 JavaScript 스타일 - ES6+ 문법 활용
 * 4. 함수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 부작용 없는 순수 함수
 */

// 모든 해결법으로 테스트
const testCases = [
  [
    [3, 7, 2, 5, 4, 6, 1],
    [false, true, true, true, true, false, false],
  ], // 예상: 20403
  [
    [1, 2, 3],
    [true, true, true],
  ], // 예상: 102
  [
    [6, 1, 5, 2, 3, 4],
    [true, false, true, false, false, true],
  ], // 예상: 50200
];

console.log("=== 성능 및 결과 비교 ===");
testCases.forEach((testCase, index) => {
  const [rank, attendance] = testCase;

  console.log(`\n테스트 케이스 ${index + 1}:`);
  console.log(`방법1 (함수형): ${solution1(rank, attendance)}`);
  console.log(`방법2 (직관적): ${solution2(rank, attendance)}`);
  console.log(`방법3 (원라이너): ${solution3(rank, attendance)}`);
  console.log(`기존방법 (Map): ${solution_original(rank, attendance)}`);
});
profile
MOON.DEVLO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