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상수(Constant)

Moon·2024년 11월 5일
0

JavaScript | 기초

목록 보기
24/48
post-thumbnail

자바스크립트에서 상수(Constant)한번 할당된 값이 절대로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한다. 변하는 값을 저장하는 변수와는 달리, 상수는 고정된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 프코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유용하다. 이번 글에서는 상수의 개념과 자바스크립트에서 상수를 선언하는 방법, 그리고 상수 사용 시 주의할 점을 정리했다.


상수와 변수의 차이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변수를 let이나 var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하며, 값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수는 const를 사용해 선언하며, 값을 변경할 수 없다.상수는 변하지 않는 고정된 값을 나타내므로 코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매우 유용하다.

예시: 상수와 변수 선언

const PI = 3.14;  // 원주율을 상수로 선언 (변경 불가)
let radius   // 반지름을 나타내는 변수 (값이 변경 가능)

위 코드에서 PI는 고정된 값이므로 상수로 선언하였고, radius는 언제든 값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변수로 선언하였다.


변수에 빈 값을 할당하는 방법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아직 값을 할당하지 않았거나 값이 미정인 상태일 때, 그 변수를 어떻게 초기화할 수 있을까? 이럴 때는 undefined가 기본적으로 할당되지만, null을 이용해 명시적으로 빈 값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변수를 선언했지만 아직 값을 결정하지 않았다는 걸 분명히 표현할 수 있다.

예시: null로 빈 값을 명시적으로 할당

let radius;        // undefined. 아직 값이 없음
radius = null;     // 값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음을 명시적으로 표현

위 코드처럼 let으로 선언한 변수는 값이 변경될 수 있다.값의 자료형을 미리 표현하고 싶을 때는 null 대신에 자료형에 맞는 기본값을 할당해주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숫자를 다루는 변수라면 기본값으로 0을, 문자열을 다루는 변수라면 빈 문자열 ""을 할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시: 자료형에 맞게 초기화

let radius = 0;    // 반지름은 숫자형이므로 0으로 초기화
let name = "";     // 이름을 다루는 변수는 빈 문자열로 초기화

상수 선언하기

상수를 선언할 때는 const 키워드를 사용한다. constconstant의 약자로, 자바스크립트에서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는 키워드다.

상수 예시

const PI = 3.14;  // 상수 선언

const로 선언된 PI는 원주율을 의미하며, 이 값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 한 번 const로 선언한 값은 재할당할 수 없기 때문에, 실수로 값을 변경할 걱정이 없다.

즉, 상수는 한 번 값을 설정하면 그 이후로는 값을 바꾸지 않겠다는 의도를 표현하는 것이다.


상수 선언 시 주의할 점

  1. 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값을 할당해야 한다.

    상수는 반드시 선언할 때 값을 할당해야 한다. 만약 값을 할당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한다.

    const MY_NUMBER;  // 오류 발생: 값을 할당하지 않음
    

  2. 상수는 값이 변경되지 않는다.

    const로 선언된 상수는 값이 고정되기 때문에, 선언 이후에는 값을 바꾸려 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상수의 중요한 특징이다.

    const PI = 3.14;
    PI = 3.14159;  // 오류 발생: 상수는 값을 변경할 수 없음

    상수는 안정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 에, 값이 변경되는 상황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3. 상수 이름은 대문자로 작성한다.

    상수를 선언할 때는 대문자와 밑줄을 사용하여 이름을 짓는 것이 관례다. 예를 들어, 상수 MY_CONSTANT대문자로 이름을 짓고, 두 단어 이상일 경우 밑줄(_)로 단어를 구분한다.

    const MY_CONSTANT = 100;
    const MAX_WIDTH = 1920;
    

    이렇게 상수를 선언하면, 나중에 코드에서 상수와 변수를 구분하기가 쉬워진다.


상수 활용 예시

상수는 값이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수학적인 상수한 번 정해지면 변하지 않는 값을 저장할 때 상수를 활용할 수 있다.

원의 넓이를 계산하는 함수 예시

// 상수 (constant)
const PI = 3.14;  // 원주율을 상수로 선언

// 변수 (variable)
let radius = 0;   // 반지름을 나타내는 변수

// 원의 넓이를 계산하는 함수
function calculateArea() {
    return PI * radius * radius;  // 상수를 활용해 원의 넓이 계산
}

// 반지름에 따른 원의 넓이를 출력하는 함수
function printArea() {
    return `반지름이 ${radius}일 때, 원의 넓이는 ${calculateArea()}입니다.`;  // 템플릿 문자열을 사용한 출력
}

// 반지름 값을 변경하며 원의 넓이를 출력하는 코드
radius = 4;
console.log(printArea());  // 반지름 4일 때 원의 넓이 출력

radius = 7;
console.log(printArea());  // 반지름 7일 때 원의 넓이 출력

radius = 8;
console.log(printArea());  // 반지름 8일 때 원의 넓이 출력

실행 결과:

반지름이 4일 때, 원의 넓이는 50.24입니다.
반지름이 7일 때, 원의 넓이는 153.86입니다.
반지름이 8일 때, 원의 넓이는 200.96입니다.

이 예시를 통해 상수와 변수의 차이를 이해하고, 상수 PI는 변하지 않으면서도 변수 radius가 달라짐에 따라 원의 넓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원주율 PI는 고정된 값이므로 상수로 선언했다. 원의 넓이를 계산하는 공식에 PI 값을 활용하면, 코드가 더 안정적이고 실수로 PI의 값을 변경할 염려가 없다.


상수를 사용하는 이유

  • 안정성: 상수는 값이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실수로 값을 바꾸거나 다른 사람이 실수로 수정할 걱정이 없다.
  • 가독성: 상수는 대문자와 밑줄로 작성되므로, 코드를 읽을 때 고정된 값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 의도 표현: 상수를 선언함으로써 이 값이 변경되지 말아야 할 값임을 코드 상에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요약

  • 상수(Constant)값이 절대 변하지 않는 변수를 의미한다.
  • 자바스크립트에서 상수는 const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한다.
  • 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값을 할당해야 하며, 이후 값을 변경할 수 없다.
  • 상수 이름은 대문자와 밑줄로 작성하는 것이 관례다.
  • 상수를 사용하면 코드의 안정성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수를 잘 활용하면, 코드가 더 명확하고 실수 없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profile
MOON.DEVLO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