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ML 태그를 다루거나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구현하려면 먼저 선택하고자 하는 태그를 정확히 지정해야 한다. 이번에는 id 속성을 사용해 HTML 태그를 선택하는 방법을 정리한다.JavaScript에서 id 속성으로 요소를 선택하려면 document.getElementB

id 속성을 활용해 하나의 태그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여러 요소를 동시에 선택해야 하는 경우라면 id로는 한계가 있다. HTML 문서에서 여러 요소를 동시에 선택해야 하는 경우, class 속성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CSS에서 클래스 이름으로 여

유사 배열, 영어로 Array-Like Object는 이름 그대로 배열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객체를 의미한다. 배열처럼 보이지만, 완전한 배열은 아니다. HTML 태그를 다룰 때 자주 마주치는 HTMLCollection이나 NodeList 같은 객체가 대표적인 유사 배

HTML 문서에서 태그 이름을 기준으로 요소를 선택해야 할 때, document.getElementsByTagName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태그 이름에 따라 요소들을 한꺼번에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번에는 이 메서드의 활용법과 주의점을 알아보자. ge

HTML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 중 가장 간편하고 유연한 방법은 CSS 선택자를 사용하는 것이다. querySelector와 querySelectorAll 메서드는 CSS 선택자를 활용해 HTML 요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querySelector는 CSS 선택자

웹 페이지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상호작용은 이벤트(event)라고 한다. 마우스를 움직이거나 키보드를 누르거나 페이지를 스크롤하는 동작 등이 모두 이벤트에 포함된다. 이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사용되는 이벤트 중 하나는 마우스 클릭이다. 이번에는 버튼 클릭 이벤

배열과 유사한 객체 ex) HTMLCollection, NodeList, DOMTokenList, ...숫자 형태의 indexing이 가능하다.length 프로퍼티가 있다.배열의 기본 메소드를 사용할 수 없다.Array.isArray(유사배열)의 리턴값은 false다.

JavaScript는 원래 웹 브라우저를 다루기 위해 등장한 프로그래밍 언어다. JavaScript에서 브라우저는 window 객체로 표현된다. 이 window 객체를 통해 브라우저의 정보를 얻거나 제어할 수 있다. 동시에, window는 JavaScript에서 전역

DOM은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문서 객체 모델이라고 한다. DOM은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HTML 문서를 객체로 표현한 모델이다. 이를 통해 JavaScript로 웹 페이지를 자유롭게 조작하거나 동적으로 콘텐츠를 추가할 수

JavaScript의 console 객체는 다양한 디버깅 메서드를 제공한다. 그중 console.log와 console.dir 메서드는 값을 출력하는 데 자주 사용되지만, 출력 방식과 초점이 다르다. 아래에서 두 메서드의 차이점을 정리하고, 다양한 예제를 통해 비교해

DOM(Document Object Model)은 HTML 문서를 객체화한 구조로, 각 HTML 태그와 그 안의 내용을 노드(Node)로 표현한다. DOM의 계층적 구조는 DOM 트리로 비유되며, 이를 이해하면 HTML 문서의 태그와 내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DOM(Document Object Model)을 다룰 때, 특정 요소나 노드를 선택하고 조작하려면 DOM 트리 내에서 노드를 탐색할 수 있는 프로퍼티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요소 노드와 모든 노드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탐색 프로퍼티를 정리하고, D

HTML 문서를 객체로 표현한 DOM(Document Object Model)의 요소 노드(Element Node)는 다양한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다.그중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innerHTML, outerHTML, textContent는 DOM 요소의 내용을 다루는 데

HTML 구조를 수정하거나 콘텐츠를 추가하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innerHTML과 outerHTML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innerHTML의 단점:기존 내용을 덮어쓰므로 이전 내용을 보존하려면 기존 데이터를 다시 참

HTML 문서에서 특정 노드를 삭제하거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조작하는 데 필수적인 기능이다. DOM 트리에서 노드를 삭제하거나 이동하는 방법은 매우 직관적이지만, 적절한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DOM에서는 이런 작업을 수행하기

HTML 문서를 브라우저가 해석하면 DOM 트리가 생성되고, HTML 태그와 속성들은 DOM 요소의 프로퍼티로 변환된다. 하지만 모든 HTML 속성이 DOM 프로퍼티로 변환되는 것은 아니며, DOM 프로퍼티와 HTML 속성 이름이 다를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HTML

HTML 요소의 스타일을 자바스크립트로 조작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첫 번째는 요소의 style 프로퍼티를 활용해 직접 스타일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CSS 클래스를 미리 정의하고, 자바스크립트로 클래스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방식이

HTML 속성은 주로 표준 속성을 활용하지만, 때로는 비표준 속성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이 글에서는 비표준 속성의 활용법과, 더 안전한 대안인 data-\* 속성과 dataset 프로퍼티를 정리한다.HTML 태그에 정의된 속성들은 대부분 표준 속성으로, HTML 표준

이벤트 핸들러는 특정 동작이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함수로,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동적으로 반응하는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인 개념이다. JavaScript에서는 여러 방식으로 이벤트 핸들러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방법에는 장단점이 존재한다.이벤트

JavaScript에서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를 활용하여 동적으로 반응하는 웹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이번에는 주요 이벤트 타입들을 정리하고, 각각이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지 살펴본다.사용자의 마우스 조작에 반응하는 이벤트다.키보드의 입력과 관련된 이벤

이벤트 객체는 웹 페이지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생성되는 객체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이벤트 객체를 통해 발생한 이벤트의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더 정교한 이벤트 처리가 가능하다.이벤트가 발생하면 브라우저가 이벤트 객체를 생성하고

이벤트 객체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생성되며,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이 객체는 이벤트 핸들러의 첫 번째 파라미터로 전달되며, 이벤트 타입에 따라 포함된 프로퍼티가 다르다. 이번 글에는 자주 사용되는 이벤트 객체의 프로퍼티를 정리한다.이 프로퍼티들은 이벤트

HTML과 CSS로 간단한 구조를 만들고, JavaScript로 각 요소에 클릭 이벤트 핸들러를 등록했을 때 예상하지 못한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타이틀을 클릭하면 타이틀 이벤트 핸들러뿐만 아니라 부모 요소인 콘텐츠의 이벤트 핸들러도 동작.리스트를 클릭하면

이벤트는 단순히 발생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흐름을 따라 진행된다. DOM 표준 이벤트 모델은 다음과 같은 3단계로 이벤트 전파를 정의한다:캡처링 단계 (Capturing phase): 이벤트가 최상위 요소(window)에서 시작해 이벤트가 발생한 대상(targ

이벤트 위임은 부모 요소에 이벤트를 등록해 자식 요소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기법이다.이 기법을 활용하면 새로운 자식 요소가 추가되거나 제거되어도 이벤트 핸들러를 다시 등록할 필요가 없어 코드를 더 간결하고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다.버블링을 활용하기 때문에 성능

HTML 태그와 브라우저는 각 요소에 다양한 기본 동작을 제공한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 경험을 풍부하게 하지만, 때로는 원하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이러한 기본 동작을 제어해야 할 필요가 있다.<a> 태그클릭하면 href 속성에 설정된 주소로 페이지가 이동.외부

JavaScript에서 이벤트는 웹 페이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요한 요소다. 이번 글에서는 이벤트 핸들러 등록부터 이벤트 위임, 브라우저 기본 동작 제어까지 주요 개념들을 정리한다.이벤트 핸들러는 특정 동작(이벤트)이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함수다. JavaScript에

마우스 버튼과 관련된 이벤트는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특히, 이벤트 객체의 button 프로퍼티를 활용하면 이벤트를 발생시킨 마우스 버튼을 확인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마우스 이벤트 타입과 발생 순서를

마우스 이동과 관련된 주요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mousemove: 마우스가 움직일 때 발생.mouseover: 마우스 포인터가 요소 위로 올라갈 때 발생.mouseout: 마우스 포인터가 요소 밖으로 벗어날 때 발생.마우스 이벤트는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동작을 감지하

마우스 이벤트를 다룰 때 이벤트 객체가 제공하는 여러 프로퍼티 중 client, page, offset는 마우스의 위치 정보를 담고 있다. 이 세 가지는 서로 다른 기준을 사용하여 좌표를 계산하기 때문에,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cl

마우스 이벤트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에는 마우스 포인터가 특정 요소 안으로 들어가거나 밖으로 나갈 때 발생하는 이벤트인 mouseover와 mouseout 이벤트에 대해 다뤄본다.mouseover: 마우스 포인터가 요소 위로

마우스 이동과 관련된 이벤트 타입에는 mouseover, mouseout, mouseenter, mouseleave가 있다. 이 네 가지 이벤트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에는 mouseover/mouseout과 mou

키보드 이벤트는 사용자가 키보드에서 입력한 동작을 감지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키보드 이벤트에는 세 가지 주요 타입이 있다:keydown: 키를 누르는 순간 발생.keypress: 키를 눌렀을 때 발생 (웹 표준에서 권장하지 않음).keyup: 키를 떼는 순간 발생

<input> 태그는 다양한 타입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HTML 요소로, 아래와 같은 타입들이 자주 사용된다:text: 일반적인 텍스트 입력.password: 입력 값을 숨기는 패스워드 타입.checkbox: 체크 가능한 입력.button: 클릭 가

웹 문서에서 스크롤이 발생하면 scroll 이벤트가 발생한다. 기본적으로 웹 문서의 크기가 브라우저 창보다 클 경우 스크롤이 자동으로 생성되며, CSS를 이용해 특정 요소에 스크롤을 추가할 수도 있다.일반적으로 스크롤 이벤트는 브라우저를 대변하는 window 객체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