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는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통신 모델로, OSI 7계층보다 간단하게 4계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계층 | 설명 | OSI 대응 계층 |
---|---|---|
Application | 응용 계층 (HTTP, FTP 등) | 5~7계층 통합 |
Transport | 전송 계층 (TCP, UDP) | 4계층 |
Network | 네트워크 계층 (IP, ICMP 등) | 3계층 |
Link | 링크 계층 (이더넷, MAC 등) | 1~2계층 통합 |
TCP/IP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은 일반적으로 응용 계층에서 시작된다. 이 계층에서는 HTTP, FTP 등의 프로토콜이 사용되며 사용자의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는 TCP/IP의 계층을 차례로 거치면서 패킷으로 분할되고 IP 주소가 부여되며, 최종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다.
: 전송하는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 전에 3-way handshake로 연결을 설정한다.
데이터 전송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신뢰성을 보장한다.
송신자가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 확인' 메시지를 받지 못할 경우, 해당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판단하고 패킷을 재전송한다.
데이터가 순서대로 도착한다.
수신자 상태나 네트워크 혼잡도를 고려한다.
예: 네이버에 접속할 때 TCP 연결을 먼저 맺고, 그 위에서 HTTP 요청을 보낸다.
연결 설정 없이 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가 손실돼도 확인/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데이터의 도착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제어 기능이 없어 속도가 빠르다.
영상 스트리밍 도중 한 프레임이 유실되어도 영상은 멈추지 않는다.
: 전송 계층(TCP, UDP)으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을 올바른 목적지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다양한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할 때 사용하는 약속된 데이터 이동 간의 규약이다.
OSI 모델에서 3계층(Network)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192.168.1.35
와 같은 형태로 각 컴퓨터는 고유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컴퓨터를 식별하고 데이터를 전송/수신한다. 출발지 IP, 목적지 IP, 전송하는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즉, IP는 “어디로 보내야 할지”
만 알려줄 뿐, “잘 도착했는지”
는 전송 계층이 책임진다. (TCP/UDP)
항목 | TCP | UDP |
---|---|---|
연결 방식 | 연결형 (3-way handshake) | 비연결형 |
신뢰성 | 보장 (데이터 유실 시 재전송) | 없음 (데이터 유실 가능) |
순서 보장 | O | X |
속도 | 느림 (과정 많음) | 빠름 (단순 전송) |
패킷 크기 | 가변 (헤더 20바이트 이상) | 작음 (헤더 8바이트) |
사용 예시 | 웹, 이메일, 파일 전송 | 게임, 스트리밍, VoIP, DNS 등 |
• TCP: 느리지만 정확하게 → 웹페이지, 로그인 등 정확성 필요한 곳
• UDP: 빠르지만 유실 가능 → 게임, 영상 등 실시간성이 중요한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