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7 확장 프로그램, 기본 폼, 태그 요소, 전역 속성, 선언 방식

나그참파맨·2022년 4월 4일
0

2022-04-05

파일만 생성하면 프로젝트가 시작되지 않음 폴더를 만든 후, 폴더 선택

확장 프로그램(Extension) 설치

Auto Rename Tag
Beautify
VSCode 공식 한글 패치
Live Sever

기본 폼

! + Tab Key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div>
    <h1>123</h1>
  </div>
</body>
</html>

img + Tab key

<img src="" alt="">

빈 태그

<img> = <img><img/>

HTML5에서는 혼용 가능
표준 문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지만 하나의 방식으로 통일해서 쓰자!

의미적 요소

<header></header>
<section></section>
<div></div>
<span></span>

기능적 요소

<img src="" alt"">

div의 기본 값: 블록 요소(상자), 레이아웃 구조를 만든다
span의 기본 값: 인라인 요소(글자)

<img src="" alt"">

전역 속성

titie, class, id, tabindex, data 등

class

<div class="이름"></div>

->css파일에서 .이름 형태로 불러올 수 있음

id

<div id="이름"></div>

->css파일에서 #이름 형태로 불러올 수 있음

title

<div title="이름">a</div>

->css파일에서

[title="hello"] <- 선택자를 입력하는 요소{
  color: red; <- 스타일 입력 요소 (전역 속성)
}

형태로 불러올 수 있음

title 속성: 요소의 설명, a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이름"이 뜨게 됨

html파일과 css파일 연결 방식(선언 방식)

링크 방식

html 파일 - head 태그 안에

link + tab key

<link rel="stylesheet" href="">

이 나오고
href=""안에 ./main.css (상대경로) /main.css (절대경로) 같은

병렬로 링크를 가져옴
빠르지만 언제 뭘 먼저 가져올 줄 모른다는 특징이 존재


임베디드 방식

html 파일 - head 태그 안에

<style> 
    [title="hello"] {
      color: blue;
    }

유지보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인라인 방식

body 안에

<div title="hello" style="color: red;">1234</div>

장점: 불러올 필요가 없다
단점: 선택자 우선순위 때문에 임베디드 방식과 마찬가지로 유지보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임포트 방식

css파일에서

@import url("경로");

CSS의 @import 규칙으로 CSS 문서 안에서 또 다른 CSS 문서를 가져와 연결하는 방식
때문에 직렬 방식이다

링크 방식으로 가져왔을 때, 후에 임포트 방식이 안에 있다는 걸 알아서 상대적으로 느리다
혼자 코드를 작성할 때는 쓰지 않는다
css 파일이 순서대로 필요한 특수한 상황에 이 직렬 방식을 쓴다


에밋 문법

태그 이름이 div인 경우 .heropy(class 이름) 입력, div가 아닌 경우 태그 이름.heropy 입력

  <div class="heropy"></div>

자동 입력됨

  ul>li*7{$}

-> 아래로 변환


  <ul>
    <li>1</li>
    <li>2</li>
    <li>3</li>
    <li>4</li>
    <li>5</li>
    <li>6</li>
    <li>7</li>
  </ul>

7{$} -> 에밋 문법

ul > li:nth-child(5) {
background-color: red;
}

nth-child(숫자)로 특정 순서 선택 가능

div > div:nth-child(3)
-> 세 번째 자식 요소 + div tag가 붙어있는가 + div의 자손인가

div > div 자손 선택자
div div 후손 선택자

ex) div div:nth-child(2)
-> 두 번째 자식 요소 + div tag가 붙어있는가 + div의 후손인가

div:nth-child() = 콜론이 하나가 붙어있으면 가상 클래스 선택자

div::after = 콜론이 두 개가 붙어있으면 가상 요소

상속의 개념

<div style="color: red;">1
  <div>2
    <div>3
      <div>4</div>
    </div>
  </div>

글자(문자) CSS 속성의 값 자동 상속되어 2,3,4의 색도 빨강이 된다.

profile
쁘론뜨엔드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