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8s] 쿠버네티스 프로세스 과정 및 기타 명령어

정석·2025년 4월 25일
0
post-thumbnail

쿠버네티스 학습 과정 중 작성 내용이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음.

쿠버네티스 구동과정

  1. 개발자가 이미지를 push 한다.
  2. push 된 이미지는 Docker Hub 또는 이미지 레포에 저장된다.
  3. kubectl create 명령어를 통해 원하는 이미지를 기입하여 create 를 시작한다.
  4. 그럼 master node 내부의 API Server 가 create 명령어를 입력 받고,
  5. 스케줄러를 통해서 어떤 노드에서 실행시킬지 정한다.
  6. 정해진 노드의 kublet 으로 해당 내용을 전달하며
  7. kublet 이 docker 를 실행시켜
  8. 이미지를 pull 받고 최종적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한다.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master node 에서 kubeadm init 명령어를 통해 스케줄러와 API Server 등이 구성된다.
etcd 저장소에선 키 밸류 값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각 노드의 상태들이 저장되어 스케줄러에서 노드 선택을 판별할 때 사용된다.

(작성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