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별 검색 엔진 로봇에게 정보를 주어 홍보할 사이트명을 검색하거나 관련된 내용을 검색했을 때 사이트의 노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함.

위 사진은 실제 내가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이다.
Crepe studio 가 og:title 이고, 아래 텍스트가 og:description 이다.
간단한 대문이라 생각하면 좋을 듯 하다.
<!-- og tag 정의 -->
<meta property="og:title" content="초간단 mac사용 설명"/> <!-- 카드에 표시하고 싶은 제목 -->
<meta property="og:image" content="https://ih3.img.jpg"/> <!-- 카드에 표시하고 싶은 이미지 -->
<meta property="og:url" content="https://www.youtube/mac..."/> <!-- 표시하고싶은 url주소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mac을 이렇게 쉽게..."/> <!-- 카드에 표시하고 싶은 설명 -->
실제 적용 예시
<meta property="og:title" content="NAVER" />
<meta property="og:site_name" content="NEAVER" />
<meta property="og:url" content="https://naver.com/" />
<meta
property="og:image"
content="https://naver-etc.s3.ap-northeast-2.amazonaws.com/og_image.png"
/>
<meta property="og:image:width" content="1200" />
<meta property="og:image:height" content="630"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네이버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검색 엔진 시스템입니다. 원하는 키워드나 주제를 입력하면 모든 관련 게시글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AVER is Korea's the largest search engine. When you search any keywords or topics, You can view related posts."
/>
<meta
name="description"
content="레드브릭은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되어 창작하고, 플레이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레드브릭은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되어 창작하고, 플레이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
하지만 위 설정들은 배포를 한 후 검색 엔진 로봇에게 승인을 받아 브라우저에 올라갔을 때에만 확인할 수 있는데, 로컬에서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


다음에는 사이트맵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To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