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데네전세표응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 두 모델 모두 계층형 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TCP/IP는 인터넷 개발 이후 계속 표준화되어 신뢰성이 우수인 반면, OSI 7 Layer는 표준이 되기는 하지만 실제적으로 구현되는 예가 거의 없어 신뢰성이 저하되어있다.
- OSI 7 Layer는 장비 개발과 통신 자체를 어떻게 표준으로 잡을지 사용되는 반면에 실 질적인 통신 자체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단계가 필요한 이유
-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들이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리계층
- bit 흐름 전송
- 실제 물리적인 전선(HW, 통신케이블), 리피터를 통해 전송한다.
- 디지털 신호(0101) -> 아날로그 신호 <인코딩>
- 디지털 신호(0101) <- 아날로그 신호 <디코딩>

- 디지털 신호는 0 ~ 무한대 hz 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 이런 전기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전선은 없다.
데이터 링크 계층

스위치로 연결된 컴퓨터: 하나의 네트워크

프레이밍: Head, Tail 을 덧붙인다. -> 데이터 단위: 프레임
Head, Tail을 통해 bit를 끊어 읽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HEAD에 MAC 주소가 들어간다.
LAN카드에서 구현한다. (HW, LAN 카드의 고유 id: MAC 주소)
스위치에 연결된 컴퓨터를 찾는다. (컴퓨터 고유값: MAC 주소)
- 흐름제어
수신에 비해 너무 많은 데이터가 송신되고 있으면 천천히 보낸다.
- 에러제어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 네트워크로 이동한다.
- 라우팅 (IP주소로) 라우터 <-> 라우터
- 단위: 패킷
- OS 커널에서 구현에서 패킷을 만든다. 패킷 단위로 쪼갠다.
전송 계층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을 다루는 계층
- 신뢰성
-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기능 제공
- 흐름 제어
- 순서 보장
요런 기능을 제공하고, UDP는 사용하지 않는 것 같다
- 포트 번호 포함 - Transport (- port)
TCP,UDP
TCP
- 연결지향형 프로토콜
- SYN (요청), ACK (확인)
- 매번 connection 맺는다.
- 신뢰성 O
- 정확한 데이터가 필요할 때 사용
- ex. 메일
- 순서 보장
- 혼잡제어
- 네트워크 데이터 속도 차이
- Network 혼잡
- 흐름제어
- 오류제어
* 잘못되었다면 재요청
UDP
- 비연결형 프로토콜
- 순서 보장 X
- 혼잡제어 X
- 흐름제어 X
- 오류제어 X
- ex. 영상 스트리밍
세션 계층
- 세션 접속 설정, 해제
- 세션의 연결, 유지, 해제를 담당하며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관리하는 기능으로서 암호화기능, 로그인기능, 호스트 인증 기능등이 있다.
표현 계층
-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표현한다.
ex. SSL, ASCII, JPEG
응용 계층
참교자료
히히 테코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