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배 양궁대회가 열렸습니다.
라이언
은 저번 카카오배 양궁대회 우승자이고 이번 대회에도 결승전까지 올라왔습니다. 결승전 상대는 어피치
입니다.
카카오배 양궁대회 운영위원회는 한 선수의 연속 우승보다는 다양한 선수들이 양궁대회에서 우승하기를 원합니다. 따라서, 양궁대회 운영위원회는 결승전 규칙을 전 대회 우승자인 라이언에게 불리하게 다음과 같이 정했습니다.
n
발을 다 쏜 후에 라이언이 화살 n
발을 쏩니다.과녁판은 아래 사진처럼 생겼으며 가장 작은 원의 과녁 점수는 10점이고 가장 큰 원의 바깥쪽은 과녁 점수가 0점입니다.
만약, k(k는 1~10사이의 자연수)점을 어피치가 a발을 맞혔고 라이언이 b발을 맞혔을 경우 더 많은 화살을 k점에 맞힌 선수가 k 점을 가져갑니다. 단, a = b일 경우는 어피치가 k점을 가져갑니다. k점을 여러 발 맞혀도 k점 보다 많은 점수를 가져가는 게 아니고 k점만 가져가는 것을 유의하세요. 또한 a = b = 0 인 경우, 즉, 라이언과 어피치 모두 k점에 단 하나의 화살도 맞히지 못한 경우는 어느 누구도 k점을 가져가지 않습니다.
모든 과녁 점수에 대하여 각 선수의 최종 점수를 계산합니다.
현재 상황은 어피치가 화살 n
발을 다 쏜 후이고 라이언이 화살을 쏠 차례입니다.
라이언은 어피치를 가장 큰 점수 차이로 이기기 위해서 n
발의 화살을 어떤 과녁 점수에 맞혀야 하는지를 구하려고 합니다.
화살의 개수를 담은 자연수 n
, 어피치가 맞힌 과녁 점수의 개수를 10점부터 0점까지 순서대로 담은 정수 배열 info
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라이언이 가장 큰 점수 차이로 우승하기 위해 n
발의 화살을 어떤 과녁 점수에 맞혀야 하는지를 10점부터 0점까지 순서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만약, 라이언이 우승할 수 없는 경우(무조건 지거나 비기는 경우)는 [-1]
을 return 해주세요.
n
≤ 10info
의 길이 = 11info
의 원소 ≤ n
info
의 원소 총합 = n
info
의 i번째 원소는 과녁의 10 - i
점을 맞힌 화살 개수입니다. ( i는 0~10 사이의 정수입니다.)n
n
(꼭 n발을 다 쏴야 합니다.)10 - i
점을 맞힌 화살 개수입니다. ( i는 0~10 사이의 정수입니다.)[2,3,1,0,0,0,0,1,3,0,0]
과 [2,1,0,2,0,0,0,2,3,0,0]
를 비교하면 [2,1,0,2,0,0,0,2,3,0,0]
를 return 해야 합니다.[0,0,2,3,4,1,0,0,0,0,0]
과 [9,0,0,0,0,0,0,0,1,0,0]
를 비교하면[9,0,0,0,0,0,0,0,1,0,0]
를 return 해야 합니다.[-1]
을 return 해야 합니다.n | info | result |
---|---|---|
5 | [2,1,1,1,0,0,0,0,0,0,0] | [0,2,2,0,1,0,0,0,0,0,0] |
1 | [1,0,0,0,0,0,0,0,0,0,0] | [-1] |
9 | [0,0,1,2,0,1,1,1,1,1,1] | [1,1,2,0,1,2,2,0,0,0,0] |
10 | [0,0,0,0,0,0,0,0,3,4,3] | [1,1,1,1,1,1,1,1,0,0,2] |
입출력 예 #1
어피치와 라이언이 아래와 같이 화살을 맞힐 경우,
과녁 점수 | 어피치가 맞힌 화살 개수 | 라이언이 맞힌 화살 개수 | 결과 |
---|---|---|---|
10 | 2 | 3 | 라이언이 10점 획득 |
9 | 1 | 2 | 라이언이 9점 획득 |
8 | 1 | 0 | 어피치가 8점 획득 |
7 | 1 | 0 | 어피치가 7점 획득 |
6 | 0 | 0 | |
5 | 0 | 0 | |
4 | 0 | 0 | |
3 | 0 | 0 | |
2 | 0 | 0 | |
1 | 0 | 0 | |
0 | 0 | 0 |
어피치의 최종 점수는 15점, 라이언의 최종 점수는 19점입니다. 4점 차이로 라이언이 우승합니다.
하지만, 라이언이 아래와 같이 화살을 맞힐 경우 더 큰 점수 차로 우승할 수 있습니다.
과녁 점수 | 어피치가 맞힌 화살 개수 | 라이언이 맞힌 화살 개수 | 결과 |
---|---|---|---|
10 | 2 | 0 | 어피치가 10점 획득 |
9 | 1 | 2 | 라이언이 9점 획득 |
8 | 1 | 2 | 라이언이 8점 획득 |
7 | 1 | 0 | 어피치가 7점 획득 |
6 | 0 | 1 | 라이언이 6점 획득 |
5 | 0 | 0 | |
4 | 0 | 0 | |
3 | 0 | 0 | |
2 | 0 | 0 | |
1 | 0 | 0 | |
0 | 0 | 0 |
어피치의 최종 점수는 17점, 라이언의 최종 점수는 23점입니다. 6점 차이로 라이언이 우승합니다.
따라서 [0,2,2,0,1,0,0,0,0,0,0]
을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라이언이 10점을 맞혀도 어피치가 10점을 가져가게 됩니다.
따라서, 라이언은 우승할 수 없기 때문에 [-1]
을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3
어피치와 라이언이 아래와 같이 화살을 맞힐 경우,
과녁 점수 | 어피치가 맞힌 화살 개수 | 라이언이 맞힌 화살 개수 | 결과 |
---|---|---|---|
10 | 0 | 1 | 라이언이 10점 획득 |
9 | 0 | 1 | 라이언이 9점 획득 |
8 | 1 | 2 | 라이언이 8점 획득 |
7 | 2 | 3 | 라이언이 7점 획득 |
6 | 0 | 0 | |
5 | 1 | 2 | 라이언이 5점 획득 |
4 | 1 | 0 | 어피치가 4점 획득 |
3 | 1 | 0 | 어피치가 3점 획득 |
2 | 1 | 0 | 어피치가 2점 획득 |
1 | 1 | 0 | 어피치가 1점 획득 |
0 | 1 | 0 | 어피치가 0점 획득 |
어피치의 최종 점수는 10점, 라이언의 최종 점수는 39점입니다. 29점 차이로 라이언이 우승합니다.
하지만 라이언이 아래와 같이 화살을 맞힐 경우,
과녁 점수 | 어피치가 맞힌 화살 개수 | 라이언이 맞힌 화살 개수 | 결과 |
---|---|---|---|
10 | 0 | 1 | 라이언이 10점 획득 |
9 | 0 | 1 | 라이언이 9점 획득 |
8 | 1 | 2 | 라이언이 8점 획득 |
7 | 2 | 0 | 어피치가 7점 획득 |
6 | 0 | 1 | 라이언이 6점 획득 |
5 | 1 | 2 | 라이언이 5점 획득 |
4 | 1 | 2 | 라이언이 4점 획득 |
3 | 1 | 0 | 어피치가 3점 획득 |
2 | 1 | 0 | 어피치가 2점 획득 |
1 | 1 | 0 | 어피치가 1점 획득 |
0 | 1 | 0 | 어피치가 0점 획득 |
어피치의 최종 점수는 13점, 라이언의 최종 점수는 42점입니다. 이 경우도 29점 차이로 라이언이 우승합니다.
하지만, 첫 번째 경우와 두 번째 경우를 비교했을 때, 두 번째 경우가 두 경우 중 가장 낮은 점수인 4점을 더 많이 맞혔기 때문에 [1,1,2,3,0,2,0,0,0,0,0]
이 아닌 [1,1,2,0,1,2,2,0,0,0,0]
을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4
가장 큰 점수 차이로 이기는 경우 중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가장 많이 맞힌, 10~3점을 한 발씩 맞히고 나머지 두 발을 0점에 맞히는 경우인 [1,1,1,1,1,1,1,1,0,0,2]
를 return 해야 합니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static int maxDiff;
static int[] apeach, rion, answer;
static boolean signal;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apeach) {
this.apeach = apeach;
this.rion = new int[11];
this.answer = new int[11];
shooting(0, n);
if (!signal) answer = new int[] {-1};
return answer;
}
public void shooting(int depth, int arrows) {
if (depth == 11) {
if (arrows != 0) return;
calculation();
return;
}
for(int i = arrows; i > -1; i--) {
rion[depth] = i;
shooting(depth + 1, arrows - i);
}
}
public void calculation() {
int apeachPoint = 0;
int rionPoint = 0;
for(int i = 0; i < 11; i++) {
if (rion[i] == 0 && apeach[i] == 0) continue;
if (rion[i] > apeach[i]) rionPoint += (10 - i);
else apeachPoint += (10 - i);
}
if (rionPoint - apeachPoint > maxDiff) {
signal = true;
maxDiff = rionPoint - apeachPoint;
answer = rion.clone();
}
else if (rionPoint - apeachPoint == maxDiff) {
boolean flag = true;
for(int i = 10; i >= 0; i--) {
if (answer[i] == rion[i]) continue;
if (answer[i] > rion[i]) flag = false;
break;
}
if (flag) answer = rion.clon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