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ompose 라이브러리를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Navigation 과 AAC ViewModel(State holder) 의 역할을 수행하는 클래스들을 Compose Multiplatform 에서 사용해보도록 하겠다.
저번 글에서 언급했던 moko-resources 를 이용한 string resource 국제화를 적용 하는 방법을 다뤄보도록 하겠다. 환경 설정 관련해서는 저번 글에서 다뤘으니,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다.
Compose Multiplatform(이하 CMP) 을 통해 미니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도중, 반가운 소식이 하나 들려왔다. 요약하자면 Coil 이 드디어 CMP 를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기존의 Android 프로젝트를 Compose Multiplatform 으로 migration 하기 시작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와 그 해결 방법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Android 앱이었던 반다라트를 Compose Muliplatform 으로 Migration 하여 앱스토어 에 성공적으로 출시하기까지 과정과 앞으로 해야할 일들에 대해 간략하게 적어보고자 한다.
기존의 Android 프로젝트에서 사용했던 이미지 관련 로직들(이미지 저장, 공유)과 같은 Android 의 context 를 필요로 하는, 플랫폼에 의존하는 기능들을 KMP 환경에 어떻게 migration 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