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타입

댕발자·2022년 1월 3일
0

Javascript 기본

목록 보기
3/4
post-thumbnail

주요내용

js에서 사용하는 변수들의 차이점 및 호이스팅에 대해서 알아본다

컨텐츠

ES6이후 새로 생긴 데이터타입 및 데이터의 차이점, 호이스팅에 대해서 나열한다.

1. var

  • ES6이전에 변수처리를 위한 데이터 타입으로 ES6이후에는 안전성의 문제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var같은경우 호이스팅이 되어지는 특징과 block scope를 무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호이스팅이란
변수의 선언의 위치와 상관없이 js파일 가장 윗부분으로 선언을 이동시켜버리는 것이다.
이 호이스팅은 function에서도 일어나는데, 이것은 차후 다시 설명한다.

block scope

let i =1;
{
   let i=3;
   console.log(i); // 출력결과 : 3;
}

이처럼 블록 스콥은 영역을 나누는것으로 생각하면 되는데 '{' 와 '}' 안에 작성한다. 블록 스콥 안에 선언된 변수는 지역 변수, 스콥 밖에 선언된 변수는 전역변수라고 칭하기도 한다.

2. let (mutable)

  • let은 ES6에서 적용된 것으로 변할수 있는값를 위한 데이터 타입이다. 기존에 var가 가지고있었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호이스팅 및 block scope를 무시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3. const (immutable)

  • const는 ES6에서 적용된 변하지 않는 값를 위한 데이터 타입이다. const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주어야 하며, 한번 초기화시 값을 변경 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변경이 없는 데이터를 담기에 좋으며 서비스의 안전성을 올릴 수 있다.

4. 데이터 타입의 종류

  • 원시타입 : number, string, boolean, undefined, null, symbol
  • 객체타입 : array, object, function

결론

var
이제 절대!!! 사용하지 말자 프로그래밍을 쉽게하는것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서비스 안전성을 위해서 절대 사용하면 안된다!
let
const로 사용 할 수 없는(변할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에서 사용하도록 하자.
const
서비스 안전성을 위해서는 되도록 const로 선언해주는것이 좋다!

profile
개발자다운개발자가되고픈개발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