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nx 서버 1개로 여러 WAS 서버의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가 가능하다고요? 한번 알아봅시다! 🧐
컴포넌트 스캔을 통한 자동 의존관계 주입하는 방법 🧐 제가 자세한 메커니즘을 유기적으로 알려드리죠!
스프링 컨테이너는 과연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 을 보장해줄까?
스프링 Bean 이 왜 등장했을까요? 🧐 과연 스프링 Bean 을 통해 SOLID 설계 5원칙을 지킬 수 있을까요?
객체지향적인 특성을 살린 SOLID 5대 설계원칙! 이번 기회에 자세히 알아봅시다 😉
웹소켓(Web Socket), STOMP 란 뭘까? 기존 HTTP 프로토콜과 달리 실시간성을 보장해보자!
개발자가 직접 수동으로 일일이 배포해야겠나요...? 🧐 Jenkins 와 Docker 를 통해 배포 자동화를 시켜보자!
AWS EC2 서버에 jar 파일을 Docker 를 활용해 배포해보자!
localhost 로 돌리고 있던 본인의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외부에 배포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백엔드에서 개발한 API 서버를 클라이언트에게 넘겨줘야 할때 어떻게 배포를 시켜야할지 정말 막막할 수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웹 개발을 하다보면 cors 라는 에러메시지를 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CORS 는 알고보면 오히려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는 반전이 있습니다. CORS, POS 란 무엇인지 알아보며, 이들에 대한 접근제어 시나리오(흐름 순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JWT 설명에서 Access Token에 이은 Refresh Token 을 활용한 코드 구현방법을 다루겠다고 말씀드렸었습니다. 현 포스팅에서 그들의 코드 구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 내용을 참고하실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지금껏 ORM 기반으로만 개발을 해보셨다면 순수 JDBC, JdbcTemplate 과 등을 기반으로 테이블 사이의 매핑관계를 구성하시려면 N:N 관계, 즉 ManyToMany 관계를 어떻게 구현할지 막막하실 수 있습니다. 예전에 저도 많이 햇갈려서 구글링을 많이 했
JWT(Json Web Token) 을 통한 인증,인가 방식을 학습했다면, 바로 이어서 등장하는 이론이 바로 Refresh Token 과 Access Token 입니다. 이들은 무엇이며, 어떤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전송이 이루어지며, 코드 구현은 어떻게 되
로그인과 관련한 이슈라면 다들 인증, 인가에 이어서 다양한 로그인 처리 방식이 존재한다는 것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 중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로그인 인증 방식인 JWT 를 등장배경부터 시작해서 활용원리까지 깊게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JWT 를 발급 및 파싱하는 과정에서 간혹 발생하는 오류인 DecodingException, Deprecated 에러에 대한 처리를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장고와 스프링을 대조, 비교하기 위해선 ORM 의 개념에 대해 알아야합니다. 그렇다면 ORM 이 뭘까요? ORM 이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Mapping 시켜주는 역할 을 하는 녀석들을 의미합니다.
RDS에 접근하기 위해 Dao에서 쿼리문을 작성했고 정보를 가져오려고 했으나, 계속해서 아래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연결에 실패했다는 Response가 확인되었습니다. (ps. 아래 Response 구문은 제 서비스에서 작성한 임의의 쿼리문에 대한 Response 입니다.
REST API의 기본 구성 원리를 반드시 구글링하여 익힌 뒤에 Route를 구성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