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집계함수(SUM, AVG, MIN, MAX) 와 GROUP BY절, 그리고 HAVING 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선수지식으로 SELECT절에 대한 기초지식이 필요합니다. SELECT 문을 아직 잘 모르신다면 아래의 제 지난 포스팅
이전 포스팅에서 DML 에 대해 소개드리면서, SELECT 문에 대해 소개드린 적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ELECT 문에 대해서만 따로 더 자세히 다루어볼까 합니다. SELECT 가 그만큼 중요한 내용이므로 잘 학습해두시면 좋을듯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ELECT 문에서 자주 활용되는 JOIN 에 대해 알아봅시다. JOIN 은 수학에서 배우는 "집합(Set)" 의 개념이 활용되니, 집합과 관련한 개념을 잘 모르신다면 학습을 미리 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랜젝션 제어어(TCL)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트랜젝션 제어어란 데이터 조작어(DML) 명령어 실행, 취소, 임시저장시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DCL 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DCL 이란 데이터 제어어(DCL : Data Control Language) 로, GRANT, REVOKE, COMMIT, ROLLBACK 명령어 등이 존재합니다.이 중에서 GRANT, REVOKE 에 대해서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DML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ML 이란 데이터 조작어(Data Manipulation Language) 로, 데이터를 조회.삽입.수정.삭제가 가능한 명령어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SQL 이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램 언어를 의미합니다. 이런 SQL 의 문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ataGrip 에서 Query 를 다뤄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WS RDS 를 기반으로 하며,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 (지난번 포스팅) 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 를 기술한 meta data 의 집합⇒ 쉽게말해, DB 내에 어떤 구조로 데이터가 저장되는가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의미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객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
데이터베이스를 공부하시다 보면 테이블(table) 과 더붙에 키(Key) 에 대한 이론은 빼놓을 수가 없을겁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다양한 Key 의 종류와 특징들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본 포스팅은 테이블에 대한 기초지식이 있으셔야 이해하기 수월합니
레코드 추가를 누르고, IPv4 주소를 값/위치에 복사한다.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을 IPV4 주소로 매핑하는 데 사용되는 DNS 레코드 유형으로, 서브 도메인을 여러개 생성하고, 각 서브도메인(ex) www, hi) 별로 ip 연결을 할 수 있다.
우선 AWS 를 사용하기 위해 계정을 생성했다. 아래와 같이 무료 지원을 사용했다. 참고로 AWS 계정 생성날을 기준으로 1년동안 무료 사용 가능하며, 만료되었을 때 다시 새로운 계정을 파서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하니 참고하면 좋을듯하다!회원가입 완료이후 최초
사람들은 개발하고 있는 서버를 로컬에서 뿐만이 아닌, 다른 사람들도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버를 배포한다. 배포하는 과정 속에서 docker로도 배포도 가능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aws를 사용한다. aws가 무엇이며, 왜 aws를 사용하는지 정리해 보았다.
외부 IP 에서 내부 IP 로 접속하기란, 자신의 컴퓨터를 내부 IP 라 가정하고 자신의 컴퓨터에 다른 컴퓨터들이 접속하는 것이다. API의 개념: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의 줄임말이다.
학교 수업시간에 사용했던 Virtual Box 와 Ubuntu 를 별도의 설치 없이 그대로 진행했다. (Ubuntu 버전 : 18.04 LTS)메모리 크기 : 4096MB하드디스크 : 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 파일크기 : 동적 크기 + 50GB 로 여유있게 확
서버와 서비스 클라이언트 - 서버 관계 서버의 동작 방식과 순서 (요청이 들어왔을 때 서비스가 어떻게 처리되는가?) 서버의 구조 로컬 호스트 (localhost) 가상머신 (Virtual Machine) Linux, Ubuntu 리눅스 명령어 리눅스 디렉
Apache : Web Server 문지기 역할 라우팅 담당 (ex. 종업원처럼 이건 여기로 가세요, 손님 맞이)버전 : 어떤 버전도 무방함브라우저가 서버에 페이지를 요청할때, 가장 앞에서 html, css 와 같은 정적인 내용에 대해 응답함요즘은 nginx 라는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