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18] IP주소 체계

Always·2025년 3월 17일
1

매일메일

목록 보기
63/69

우리는 ip를 통해서 컴퓨터가 인터넷내에서 어떤 네트워크에 위치해있고, 어떤 호스트 주소를 가지는 지를 알 수 있다.
ip주소는 기본적으로 4바이트를 통해서 나타낼 수 있다.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크게 클래스풀 주소 체계,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로 나눌 수 잇다.

클래스 풀 주소 체계

클래스풀 주소 체계는 앞에서 부터 각 바이트 별로, 네트워크 주소를 나타내고, 뒤에는 호스트 주소를 나타내는데, 이를 클래스 화한 것이다.

A클래스

A클래스는 첫번째 바이트를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하고 나머지 바이트를 호스트 주소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때 다른 클래스 들과의 구분을 위해서 0으로 무조건 시작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주소는 2^7개를 나타낼 수 있고 호스트 주소는 2^24-2개를 만들 수 있다.
모두 0은 호스트 주소를,모두 1은 브로트캐스트 주소를 나타낸다.

B클래스

B클래스는 네트워크 주소를 앞의 2바이트로 나타낼 수 있고, 01로 시작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주소는 2^14개로 나타낼 수 있고, 호스트 주소는 2^16-2개로 나타낼 수 있다.

C클래스

C클래스는 네트워크 주소를 앞의 3바이트로 나타낼 수 있고,
110으로 시작한다. 따라서, 2^21개의 네트워크 주소로 나타낼 수 있고, 2^8-2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클래스를 나누어서, 네트워크 주소,호스트주소를 나타내면, ip주소의 낭비가 초래 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서, 특정 조직에 컴퓨터가 255대라면 2^8-2개로 나타낼 수 없으므로, B클래스를 사용해야한다.
B클래스를 사용하면, 낭비가 많이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나온 것이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이다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는 ip주소와 비트연산을 하는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는 체계이다.

서브넷 마스크는 처음부터 연속된 1을 통해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서브넷 마스크를 255.255.255.0, ip주소가 168.168.168.168인 경우 비트 연산을 통해서 네트워크 주소인 168.168.168.0으로 알아낼 수 있다.

서브넷 마스크는 연속된 1로 표현하므로, 숫자로 표현 가능하다.
따라서 IP주소/서브넷 마스크 비트열의 1의 수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위의 케이스에서는 168.168.168.168/24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

profile
🐶개발 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