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 Rest?

Always·2025년 2월 17일
0

매일메일

목록 보기
41/69

Rest란?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이름 그대로 상태를 주고받는데,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 자원을 나타내는 이름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이름을 나타내기 위해서 JSON이 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 방식중 하나로 HTTP프로토콜을 이용한다.여기서 Rest함은 URI,Method를 통해서 자원을 표현하는 것을 통해서 확인 할 수 있다.

이렇게 자원을 표현함을 통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종의 언어 같은거다
이러한 언어가 잘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일종의 출입구 같은 역할은 하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API이며
REST한 API를 우리가 아는 REST API라고 한다.

즉 REST란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 PATCH 등)를 통해
해당 자원(URI)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단점?

Rest를 사용하면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명확히 하기에,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을 지향하는 현대의 어플리케이션과 fit한 면이 있다.
또한 url, method라는 약속이 정해져있기에, 다른 툴을 통해서 테스트할 때도 이 약속만 알고 있다면 간단하게 테스트가 가능하다.

하지만, uri,method로 정해져있으므로, 이로 표현할 수 없는 작업의 경우도 존재하며, 여러자원을 한번의 요청으로는 받기 쉽지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json메시지 포맷은 메시지가 길어지면 네트워크 트래픽을 더욱 많이 사용해서 속도상 단점이 존재하며, 메시지를 해석하는 JSONconverter에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
🐶개발 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