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공 학습단] 혼자공부하는파이썬_1주차

Muun·2025년 7월 10일
0
post-thumbnail

Chapter 01. 파이썬 시작하기

1.1 파이썬을 하기 전에 읽는 간단한 설명

간단한 용어 설명

  • 프로그램(pro+gram) : 미리+ 작성된 것 = 미리 작성된 것 = 진행 계획
  • 컴퓨터 프로그램 : 컴퓨터가 무엇을 해야 할 지 미리 작성한 진행 계획
  • 이진 숫자 : 0과 1로 이루어진 컴퓨터를 위한 언어
  • 프로그래밍 언어 :컴퓨터를 위한 언어를 사람이 이해하기 위한 언어
  • 소스 코드 :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

파이썬(Python)

  • 1991년 귀도 반 로섬이 발표한 프로그래밍 언어
  • 초보자가 쉽게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 파이썬 장점
    • 문법이 간단하다.
    •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 대부분의 운영체제(윈도우, 맥, 리눅스)에서 동일하게 사용된다.
  • 파이썬 단점
    • C언어에 비해 10~35배 정도 느리다.

1.2 파이썬을 배우기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

  1. 개발 환경 준비
  • 개발 환경: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위해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과정
  • 텍스트 에디터 + 코드 실행기
    • 텍스트 에디터: 프로그래밍 언어로 이루어진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음
    • 코드 실행기: 파이썬에서는 파이썬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도구인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필요함
  1. 파이썬 설치하기
  • 파이썬 설치 프로그램 다운받기 (파이썬 공식 홈페이지)
  1. 파이썬 실행하기: 파이썬 인터렉티브 셸
  • 파이썬 인터렉티브 셸 : 파이썬 코드를 한 줄 한 줄 입력하면서 실행 결과를 볼 수 있는 공간
  • 구성
    • 프롬프트 : >>>로 생긴 부분 -> 코드를 한 줄 한 줄 입력하면 바바로 실행 결과를 볼 수 있음
    • 인터렉티브 셸 : 컴퓨터와 상호 작하하는 공간 (= 대화형 셸)
  1. 텍스트 에디터 사용하기(1) : 파이썬 IDLE 에디터
  • 인터렉티브 셸 : 간단한 실행 결과 등을 확인할 때 유용
  • 텍스트 에디터 : 긴 코드를 입력하거나 코드를 저장할 때 유용
  1. 텍스트 에디터 사용하기(2):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 IDLE : 파이썬 프로그램을 혼자 간단히 개발하는 경우 사용하기는 괜찮으나 기능이 많지 않음 -> 긴 코딩에 불리함
  • 비주얼 스튜디오(VSCode) : 프로그래밍 언어를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텍스트 에디터

1.3 자주 나오는 파이썬 용어들

  • 문장 : 실행할 수 있는 코드의 최소 단위
  • 프로그램 : 문장들이 모여 이루는 형태
  • 표현식 : 파이썬에서 어떠한 값(숫자, 수식, 문자열 등)을 만들어 내는 간단한 코드
  • 키워드 : 특벼려한 의미가 부여된 단어로, 파이썬이 만들어질 때 이미 사용하겠다고 예약해 놓은 단어
    • 사용자는 이름을 정할 때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됨
    • 예시: False, None, elif, if 등

  • 식별자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
    • 식별자의 원칙
      •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된다.
      • 특수 문자는 (_)만 허용된다.
      • 숫자로 시작하면 안된다.
      • 공백을 포함할 수 없다.
    • snake_case vs CamelCase
      • snakecase : 단어 사이에 ()기호를 붙여 식별자를 형성 (소문자로 시작)

        • 뒤에 괄호 o : 함수
        • 뒤에 괄호 x : 변수
      • CamelCase : 단어들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만들어 식별자를 형성 (대문자로 시작)

        -> 클래스

  • 주석 : 프로그램의 진행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코드
    • 앞에 # 기호를 붙여 주석처리를 수행
  • 연산자 : 스스로 값이 되는 것은 아니고, 값과 값 사이에 무언가 기느을 적용할 때 사용하는 것
  • 자료(literal) : 숫자이든 문자이든 간에 어떠한 값 자체를 의미

출력: print()

  • print() : 함수의 괄호 안에 출력하고자 하는 것을 나열해서 사용

Chapter 02. 자료형

2.1 자료형과 문자열

  • 자료 : 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는 모든 것
  • 자료형 : 기능과 역할에 따라 자료를 구분해 놓은 형식
    • 문자열(string): 안녕하세요, "Hello World"
    • 숫자(number): 52, 273, 103.32
    • 불(boolean): True, False
    • 자료형을 확인하는 방법: type()함수 이용

문자열 만들기

  • 문자열: 글자들이 나열된 것으로, string이라고 부름

다음과 같이 이용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

-> 파이썬은 이와 같은 형태를 단순한 문자열과 문자열의 나열 형태로 인식하기 때문

=> 구문 오류(SyntaxError) 발생!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하여 문자열 만들기

  •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character) : 역슬래시() 기호와 함께 조합하여 사용하는 특수한 문자를 의미
    • \": 큰 따옴표를 의미
    • \': 작은 따옴표를 의미
    • \n: 줄 바꿈을 의미
    • \t: 탭을 의미
    • \: 역슬래시()를 의미

위의 경우보다 코드를 더욱 쉽고 간편하게 읽을 수 있음

  • \기호: 코드를 쉽게 보기 위해 줄바꿈을 한 것이지 실질적인 줄바꿈이 아님을 나타낼 때도 자주 사용

문자열 연산자

  • 문자열 연결 연산자: +
    • "문자열" + "문자열"
    • 두 문자열을 연결해서 새로운 문자열을 형성

문자열의 경우. 문자끼리만 연결할 수 있고 숫자와의 연결이 불가능함!

-> 숫자를 더하는 경우 반드시 숫자와 숫자 사이에 +연산자를 사용해서 연산해야 함

  • 문자열 반복 연산자: *
    • 문자열 * 숫자 or 숫자 * 문자열의 형태로 나타냄

  • 문자 선택 연산자(인덱싱):[ ]
    • 문자열 내부의 문자 하나를 선택하는 연산자
    • 대괄호 내에 선택할 문자의 위치를 지정하며, 이 숫자를 인덱스(index)라고 부름
    • 인덱스 유형
      • 제로 인덱스: 숫자를 0부터 세는 경우
      • 원 인덱스: 숫자를 1부터 세는 경우
    • 대괄호 내에 숫자를 음수로 입력하면 뒤에서부터 선택할 수 있음
  • 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슬라이싱): [ : ]
    • 문자열의 특정 범위를 선택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 범위는 대괄호 안에 위치를 콜론(:)으로 구분해서 지정함
    • 범위는 반드시 [a:b]로 지정되며, 이는 a 이상 b 미만으로 출력됨
    • 대괄호 안에 넣는 숫자 둘 중 하나를 생략하여 나타내기도 함
      • [:2]: 가장 앞쪽의 위치부터 1번째 인덱스까지 지정
      • [2:]: 2번째 인덱스부터 끝까지 지정

  • IndexError(index out of range) 예외 : 리스트/문자열의 수를 넘는 요소/글자를 선택할 때 발생

문자열의 길이 구하기

  • len() 함수 사용
    • 문자열에 들어가 있는 문자의 개수(=문자열의 길이)를 세어줌

오류는 마지막 줄에서 발생

이유: 예외 처리의 오류로, 안녕하세요의 인덱스는 0부터 4까지만 존재하기 때문에 인덱스 범위를 초과하여 발생

2.2 숫자

  • 정수형 : 소수점이 없는 숫자
    • 0, 1, 273, -52
  • 실수형 : 소수점이 있는 숫자
    • 3.14, 0.0
  • 부동 소수점 : 소수점이 움직이는 숫자

숫자의 종류

  • int: 정수형
  • float: 부동소수점(실수)

숫자 연산자

  • 사칙 연산자: +, -, *, /
    • +: 덧셈 연산자
    • -: 뺄셈 연산자
    • *: 곱셈 연산자
    • /: 나눗셈 연산자

  • 정수 나누기 연산자: //
    • 소수점 아래를 떼어 버린 값이 출력됨

  • 나머지 연산자: %
    • A를 B로 나누었을 때 남은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

  • 제곱 연산자: **
    • 숫자를 제곱하는 연산자

연산자의 우선순위

  • 우리가 흔히 아는 수학에서의 우선순위와 동일
    • 곱셈과 나눗셈이 덧셈과 뺄셈보다 우세함
    • 괄호로 감싸준 부분이 가장 우세함

TypeError 예외

  • 문자열과 숫자를 + 연산자로 연결한 경우, 문자열에선 + 연산자를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인식하고, 숫자는 + 연산자를 덧셈 연산자로 인식하기 때문에 충돌 발생
  • 반드시 동일한 자료형끼리 연산자를 사용해야 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