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에 넘겨주는 인수의 개수엔 제약이 없습니다. 여분의 매개변수는 그 값들을 담을 배열 이름을 마침표 세 개 ...뒤에 붙여주면 함수 선언부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이때 마침표 세 개 ...는 "나머지 매개변수들을 한데 모아 배열에 집어넣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function sumAll(...args) { // args는 배열의 이름입니다.
let sum = 0;
for (let arg of args) sum += arg;
return sum;
}
alert( sumAll(1) ); // 1
alert( sumAll(1, 2) ); // 3
alert( sumAll(1, 2, 3) ); // 6
앞부분의 매개변수는 변수로, 그 이외의 매개변수들은 배열로 모을 수도 있습니다.
아래 예시에선 처음 두 인수는 변수에, 나머지 인수들은 titles이라는 배열에 할당됩니다.
function showName(firstName, lastName, ...titles) {
alert( firstName + ' ' + lastName ); // Julius Caesar
// 나머지 인수들은 배열 titles의 요소가 됩니다.
// titles = ["Consul", "Imperator"]
alert( titles[0] ); // Consul
alert( titles[1] ); // Imperator
alert( titles.length ); // 2
}
showName("Julius", "Caesar", "Consul", "Imperator");
배열 != 숫자 목록
함수를 호출할 때 ... arr를 사용하면, 이터러블 객체 arr이 인수 목록으로 '확장’됩니다.
배열을 합칠 때
let arr = [3, 5, 1];
let arr2 = [8, 9, 15];
let merged = [0, ...arr, 2, ...arr2];
alert(merged); // 0,3,5,1,2,8,9,15 (0, arr, 2, arr2 순서로 합쳐집니다.)
변수는 특수 내부 객체인 환경 레코드의 프로퍼티입니다. 환경 레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함수와 코드 블록, 스크립트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변수를 변경하면 환경 레코드의 프로퍼티가 변경됩니다.
함수 선언문으로 선언한 함수는 렉시컬 환경이 만들어지는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는 let을 만나 선언이 될 때까지 사용할 수 없지만 말이죠.
함수를 호출해 실행하면 새로운 렉시컬 환경이 자동으로 만들어집니다. 이 렉시컬 환경엔 함수 호출 시 넘겨받은 매개변수와 함수의 지역 변수가 저장됩니다. 함수가 호출 중인 동안엔 호출 중인 함수를 위한 내부 렉시컬 환경과 내부 렉시컬 환경이 가리키는 외부 렉시컬 환경을 갖게 됩니다. 그리고 내부 렉시컬 환경은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를 갖습니다.
코드에서 변수에 접근할 땐, 먼저 내부 렉시컬 환경을 검색 범위로 잡습니다. 내부 렉시컬 환경에서 원하는 변수를 찾지 못하면 검색 범위를 내부 렉시컬 환경이 참조하는 외부 렉시컬 환경으로 확장합니다. 이 과정은 검색 범위가 전역 렉시컬 환경으로 확장될 때까지 반복됩니다.
모든 함수는 함수가 생성된 곳의 렉시컬 환경을 기억한다는 점입니다. 함수는 [[Environment]]라 불리는 숨김 프로퍼티를 갖는데, 여기에 함수가 만들어진 곳의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가 저장됩니다. [[Environment]]는 함수가 생성될 때 딱 한 번 값이 세팅되고 영원히 변하지 않습니다.
클로저는 외부 변수를 기억하고 이 외부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함수를 의미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숨김 프로퍼티인 [[Environment]]를 이용해 자신이 어디서 만들어졌는지를 기억합니다. 함수 본문에선 [[Environment]]를 사용해 외부 변수에 접근합니다.
함수 호출이 끝나면 함수에 대응하는 렉시컬 환경이 메모리에서 제거됩니다. 함수와 관련된 변수들은 이때 모두 사라지죠. 함수 호출이 끝나면 관련 변수를 참조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모든 객체는 도달 가능한 상태일 때만 메모리에 유지됩니다.
그런데 호출이 끝난 후에도 여전히 도달 가능한 중첩 함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이 중첩함수의 [[Environment]] 프로퍼티에 외부 함수 렉시컬 환경에 대한 정보가 저장됩니다. 도달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죠.
함수 호출은 끝났지만 렉시컬 환경이 메모리에 유지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입니다.
(어떤 변수에 리턴값이 할당되는 경우)
객체 메서드가 객체 내부가 아닌 다른 곳에 전달되어 호출되면 this가 사라집니다.
방법 1: 래퍼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래퍼 함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let user = {
firstName: "John",
sayHi() {
alert(`Hello, ${this.firstName}!`);
}
};
setTimeout(function() {
user.sayHi(); // Hello, John!
}, 1000);
방법 2: bind
모든 함수는 this를 수정하게 해주는 내장 메서드 bind를 제공합니다. bind는 함수처럼 호출 가능한 '특수 객체(exotic object)'를 반환합니다. 이 객체를 호출하면 this가 context로 고정된 함수 func가 반환됩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선 함수를 생성하고 그 함수를 어딘가에 전달하는 것이 아주 자연스럽습니다.
그런데 어딘가에 함수를 전달하게 되면 함수의 컨텍스트를 잃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면 현재 컨텍스트를 잃지 않아 편리합니다.
메서드와 this 챕터에서 화살표 함수엔 this가 없다는 것을 배운 바 있습니다. 화살표 함수 본문에서 this에 접근하면, 외부에서 값을 가져옵니다.
이런 특징은 객체의 메서드(showList()) 안에서 동일 객체의 프로퍼티(students)를 대상으로 순회를 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6.3, 6.11은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 단계별로 차분히 공부해야 이해가 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