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스프링 빈 조회, 상속관계,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
![post-thumbnail](https://velog.velcdn.com/images/myway00/post/bdc2213c-90ab-4192-852e-295f1b8a7081/image.PNG)
빈 조회, 상속 대원칙
- 부모타입으로 조회하면 자식 타입도 함께 조회하게 된다.
- 부모 빈을 조회하면 그 자식 빈들도 나오게 된다.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
- getBean() 제공해주는 스프링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
ApplicationContext
- 빈 관리, 조회 기능 외에도 부가기능 필요
![](https://velog.velcdn.com/images/myway00/post/da09f2c1-bf46-46fd-a7a0-87dbd999969c/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myway00/post/a4d1e5ed-841b-4f1d-bcb7-d1137eaa3e71/image.png)
(+) xml에서는 하나하나 빈 등록이 필요
- 자바 코드가 아니라 xml이라는 문서로 빈을 등록해주기
- xml 돌아가는 방식 이해정도는 하고 있어야 한다.
=> 컴파일 없이 문서만 바꿔치우면 바꾸기 가능
- 스프링이 유연라게
BeanDefinition (빈 메타정보)
- 스프링은 BeanDefnition이라는 추상화된 아이만 받으면 빈 생성이 가능
- 어떤 형식으로 definition이 정의되는지는 1도 상관없고, 오로지 BeanDefinition만 내 손아귀에 들어온다면 빈 생성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