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xyMode = ScopedProxyMode.TARGET_CLASS
를 추가해주자.TARGET_CLASS
를 선택INTERFACES
를 선택 이렇게 설정후 나머지 코드를 Provider 사용 이전으로 돌려두자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Controller {
private final LogDemoService logDemoService;
private final ObjectProvider<MyLogger> myLoggerProvider;
@RequestMapping("log-demo")
@ResponseBody
public String logDemo(HttpServletRequest request){
MyLogger myLogger = myLoggerProvider.getObject();
String requestURL = request.getRequestURI().toString();
myLogger.setRequestURL(requestURL);
myLogger.log("controller test");
logDemoService.logic("testID");
return "OK";
}
}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Service {
private final MyLogger myLogger;
public void logic(String id) {
myLogger.log("service id =" + id);
}
}
이렇게 수정한 후 실행해보면 잘 동작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코드를 살펴보면 LogDemoController
, LogDemoService
는 Provider사용 전과 동일하게 구성되어있다. 이제 동작원리를 살펴보자.
웹 스코프와 프록시 동작 원리
CGLB라는 라이브러리로 내 클래스를 상속 받은 가짜 프록시 객체를 만들어서 주입한다.
@Scope
의 proxyMode = ScopedProxyMode.TARGET_CLASS
를 설정하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CGLIB라는 바이트 코드를 조작하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MyLogger를 상속받은 가짜 프록시 객체를 생성한다.
결과를 확인해보면 우리가 등록한 순수한 MyLogger 클래스가 아니라 MyLogger$$EnhancerBySpringCGLIB
이라는 클래스로 만들어진 객체가 대신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 컨테이너에 "myLogger"라는 이름으로 진짜 대신에 이 가짜 프록시 객체를 등록한다.
ac.getBean("myLogger",MyLogger.class)
로 조회해도 프록시 객체가 조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의존 관계 주입도 이 가짜 프록시 객체가 주입된다.
가짜 프록시 객체는 요청이 오면 그때 내부에서 진짜 빈을 요청하는 위임 로직이 들어있다.
myLogger.logic()
을 호출하면 사실은 가짜 프록시 객체의 메서드를 호출한 것이다.myLogger.logic()
를 호출한다.동작 정리
특징 정리
주의점
정말 유익한 글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