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 {
background-color: black;
}
h2 {
color: red;
}
#bold_text {
color: green;
}
css파일을 export를 따로 하지 않는다.
class, id명은 html파일에 적용하듯이 사용할 수 있다.
//css 파일 import
import "./App.css";
import MyHeader from "./myHeader";
import MyFooter from "./MyFooter";
function App() {
return (
//JSX문법
<div className="App">
<MyHeader />
<h2>안녕 리액트</h2>
<b id="bold_text">React.js</b>
<MyFooter />
</div>
);
}
export default App;
App()함수의 return 값의 html구조안에 class와 id값을 지정해 주룻 있다.
className
이므로 주의function App() {
const style = {
App: {
backgroundColor: "black",
},
h2: {
color: "red",
},
bold_text: {
color: "green",
},
};
return (
//JSX문법
<div style={style.App}>
<MyHeader />
<h2 style={style.h2}>안녕 리액트</h2>
<b style={style.bold_text}>React.js</b>
<MyFooter />
</div>
);
}
App()함수 내에 style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객체를 생성해 { }
를 이용해 객체의 점표기법을 이용해 스타일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style={style.App}
style={style.h2}
style={style.bold_text}
{ }
안에는 문자열, 숫자, 연산, 함수 호출을 할 수 있다.<img></img>
<a></a>
<img/>
로 표기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