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 var, let, const에 대하여

oong·2022년 8월 14일
0

var

  • 변수 중복 선언 가능
  • 함수 레벨 스코프
  • 변수 호이스팅 (변수 선언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하는 것은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에러를 발생시키지는 않지만 프로그램의 흐름상 맞지 않을뿐더러 가독성을 떨어뜨리고 오류를 발생시킬 여지를 남긴다.)

let

  • 변수 선언 중복 금지
  • 블록 레벨 스코프
  • 변수 호이스팅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 ES6에 도입된 let, const, class를 사용한 선언문은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const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 한다.
const x = 1;
  • 블록 레벨 스코프
  • 재할당 금지
  • 상수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 - 상태 유지와 가독성, 유지보수의 편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원시 값을 할당한 경우 원시 값은 변경할 수 없는 값이고 const 키워드에 의해 재할당이 금지되므로 할당된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객체를 할당한 경우 값을 변경할 수 있다.
const person = {
  name: 'Kim'
}
//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이므로 재할당 없이 변경이 가능하다.
person.name = 'Park';

-> const 키워드는 재할당을 금지할 뿐 '불변'을 의미하진 않는다.

변수 선언에는 기본저긍로 const를 사용하고 let은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 한정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면 의도치 않은 재할당을 방지하기 때문에 좀 더 안전하다.

var, let, const 키워드는 다음과 같이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 ES6을 사용한다면 var 키워드는 사용하지 않는다.
  •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 한정해 let 키워드를 사용한다. 이때 변수와 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만든다.
  • 변경이 발생하지 않고 읽기 전용으로 사용하는 원시 값과 객체에는 const 키워드를 사용한다. const 키워드는 재할당을 금지하므로 var, let 키워드보다 안전하다.

출처: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