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전문가 양성과정 3주차 1일(1/2)

최수환·2023년 1월 2일
1

Kubernetes

목록 보기
12/75
post-thumbnail

파일시스템

  • 파일과 디렉터리의 집합을 구조적으로 관리하는 체계
  • 구조화된 일련의 정보를 구성하는 파일과 디렉터리의 집합
  • 파일과 디렉터리를 저장하기 위한 방식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기타 파일 시스템] : 읽기/쓰기/저장하기 등의 용도를 위한 시스템
📌 cat /proc/filesystems : 현재 사용하고 있는 파일시스템들을 볼 수 있다.

[리눅스의 가상 파일 시스템] : 특수용도의 가상 파일 시스템


  • 리눅스 고유의 디스크 기반 파일 시스템
    • ext(ext1) -> ext2 -> ext3(저널링 기능 도입)-> ext4(현재 리눅스)

📒 저널링 기능 : 읽기 / 쓰기 / 삭제에 대한 기록을 수행
-> 보안, 복구 등의 기능 강화


디스크

디스크 구조

  • 플래터 :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위치
    (자기장으로 데이터 저장)
  • 스핀들 : 플래터를 회전시키는 역할
  • 헤드 : 플래터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 Actuator : 디스크 제어 컨트롤러에 의해 디스크 플래터의 원하는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읽어오기 위하여 암을 이동시킴
  • Actuator Arm : Actuator에 의하여 움직여진다. 각 암마다 한 개씩의 헤더가 붙어있다.
  • 커넥터 : 디스크의 연결 인터페이스 종류에 맞는 케이블 연결을 담당
  • 디스크 플래터의 논리적인 구성요소
    • 섹터 : 디스크 플래터의 단위 , 1개 크기 = 512byte , 디스크 블록이라고도 불림
    • 트랙 : 섹터가 모여 하나의 원을 구성 한다.
    • 실린더 : 여러 동심 트랙에 대한 스택 구조

디스크를 사용하기위해

  • 물리적으로 디스크 추가
  • 디스크 인식
  • 파티셔닝
  • 파일시스템 초기화(포맷)
  • 마운트 : 파일 시스템을 디렉터리 계층 구조의 특정 디렉터리와 연결

파티션

  • 디스크 파티션 : 디스크에서 사용할 공간을 지정한 것 = 하나의 디스크를 나누어 사용하여 여러 개의 디스크가 있는 것처럼 사용
    -> 파티션에 포맷/작업을 하게 되면 볼륨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 파티셔닝 : 디스크의 파티션을 구획하는 작업 및 방식
    • MBR 파티션
      • 메인보드에서 바이오스 펌웨어를 사용하는 컴퓨터 에서 사용하는 파티셔닝 방식
      • 디스크 0번섹터인 MBR에 파티션 정보가 있는 방식
      • 최대 4개의 Primary 파티션을 지원함
      • 최대 용량 2TB까지 지원(단점)
      • 호환성이 좋다
    • GPT 파티션
      • EFI/UEFI 펌웨어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사용가능 한 파티셔닝 방식
      • 최대 128개의 파티션을 지원함
      • 최대 8ZB(Zeta Bytes)까지 지원함
      • Primary, Extended, Logical 파티션 구분 없음

📒 Primary 파티션 : OS를 설치할 수 있는 파티션
📒 Extended 파티션 : Logical Partition의 정보를 담고 있는 파티션, 데이터의 저장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파티션
📒 Logical 파티션 : OS를 설치할 수 없고 데이터만 저장가능한 파티션

💡 크기별로 정리 : 디스크 > 파티션 > 실린더 > 트랙 > 섹터

리눅스 시스템 스토리지 장치명

  • 리눅스에 장치를 연결하면 /dev 디렉터리 내에 장치파일로 생성된다

  • 장치명 생성규칙 : 인터페이스별 장치명 + 장치 번호 + [파티션번호(숫자)]

    - E-IDE : hd + a, b, c, d + 1, 2, 3
    - SATA,SCSI,SAS : sd + a, b, c, d + 1, 2, 3


    -> sda가 두개로 파티셔닝 된 것을 볼 수 있다 (sda1, sda2)
    -> sda1은 Boot로 부팅할 때 사용되는 파티션

  • fdisk로 MBR 파티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형식 : fdisk [옵션][장치명]

      ex) fdisk /dev/sdb -> n입력해서 파티셔닝 진행
  • gdisk로 GPT 파티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크 연결 인터페이스 방식

E-IDE 방식

  • 2000년대 초반까지 개인 pc
  • 핫 플러깅 지원x -> 디스크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경우 시스템을 종료한 상태에서 작업하여야 한다
  • 마스터/슬레이브 각 두개씩 총 4개 디스크 연결가능

📒 핫 플러깅 : 운영 중인 시스템에서도 디스크를 자유롭게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방식

SATA

  • 핫 플러깅 지원 o
  • 케이블 1개당 1개의 디스크를 연결
  • 메인보드에서 10개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도 함

SCSI (병렬 통신)

  • 핫 플러깅 지원 o
  • 디스크뿐 아니라 기타 주변기기들을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는 표준 연결방식
  •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기능이 시스템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각 주변기기에 있다 - > CPU가 제어하는 방식보다 성능이 빠르다
  • 꼽는데가 2군데에 각각 16개의 디스크를 연결 가능

SA-SCSI (직렬 통신) = SAS

  • 속도가 더 빨라진 SCSI인터페이스 -> 기존의 병렬 방식 인터페이스는 신호간섭에 의해 고속 성능 구현이 어렵다
  • SATA와 호환성 유지
profile
성실하게 열심히!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