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ace()
• replace(바뀌게 될 문자열, 바꿀 문자열)처럼 사용해서 문자열 내의 특정한 값을 다른 값으로
치환해 준다.
- split()
• split()처럼 괄호 안에 아무런 값도 넣어 주지 않으면 공백(스페이스, 탭, 엔터)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 준다
• split(',')처럼 괄호 안에 특정한 값이 있을 경우에는 괄호 안의 값을 구분자로 해서 문자열을 나누어 준다.
','는 리스트 형태로 바로 구분해줌

이름없는 함수 : Ramda
key=len 내장함수
튜플(tuple)


차이점은 ,의 차이인데
t1은 int
t2는 Tuple
(1) : 하나의 값만 있는 것
(1, ) : 하나의 값이 더 있다는 것
(a+b)×c 에서 a+b를 먼저 해주는 ()의 역할과 같다.

t4 = (1,2,3) #packing 하나로 묶어주는 것

Packing, unpacking은 Tuple에서만 있는 개념

list, array, 배열 다 같은 말
리스트는 [] 튜플은 () 로 구분하거나
type()으로 알 수 있음
딕셔너리(dict)
- 비순차 자료형이면서 가변 자료형이다.
-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인덱스를 사용핚 데이터 접근은
불가능하다.
-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핛 경우 반드시 키와 값을 동시에 입력해야 핚다.
- 값(value)은 변경가능 하지맊 키(key)는 변경이 불가능하다.
- 하나의 딕셔너리 (dict) 객체에 중복된 키(key)가 졲재핛 수 없다.
- 키(key)를 사용하면 해당 값(value)을 반홖핚다.

딕셔너리(dict) 관련함수⭐

집합

XOR : 두 집합에서 공통으로 겹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합집합
부울(bool)
자료형 변환
- 파이썬에서 자료형 변환은 변환하고자 하는 타입을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정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