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https만 있는 줄 알았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웹 페이지를 불러오거나 정보를 주고받는 데에 많이 사용됩니다.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http의 보안 버전으로, ssl 또는 tl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웹사이트의 보안을 강화합니다.
ftp (file transfer protocol):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때 사용됩니다.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이메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이메일 서버 간에 이메일을 전송할 때 사용됩니다.
pop3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이메일 수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이메일 서버에서 이메일을 클라이언트로 가져올 때 사용됩니다.
imap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이메일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이메일 서버에서 이메일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관리할 때 사용됩니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합니다.
udp (user datagram protocol): tcp와 유사하지만, 데이터 전송 중에 추가적인 검사 없이 더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신뢰성 프로토콜입니다.
dns (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인터넷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웹사이트를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Template
html 파일 관장
index view 함수에서는
from django.shortcuts import render
def index(request):
return render(request, "index.html")
#(첫번째자리 request 쓰고, 두번째자리 Template이름)
함수인데 Template를 렌더링해서 HTML 파일을 return하는 함수
들어오는 경로 users/
url.py로 가서
url 패턴안에 적어준다 path('users/', view.users)
urlpatterns = [
path('admin/', admin.site.urls),
path('index/', views. index),
path('users/', view.users),
#뷰에있는 유저스 함수를 찾아라는 의미
]
view.py로 가서
def users(request):
return render(request, "user.html")
라고 써준다음
user.html만들러 간다
articles앱 안에 templates에 새파일 users.html 이라고 생성
! + tab 으로 html 생성해준다
(주의 아랫쪽 언어모드를 html로 변경)
바디태그안에
<body>
<h1>This is Users page<h1>
<body>
터미널창에서 서버 재실행 control + c
python manage.py runserver 입력후 엔터
크롬창
주소칸 뒤에 /users/ (경로) 입력후 엔터!
users Template가 렌더링이 돼서 나오는걸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