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Value 저장소는 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Key는 고유한 값이어야하며 짧을 수록 성능이 좋다. 값은 보통 무엇이 오든 상관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다이나모디비, 레디스, memcached 등이 있다.
읽기, 쓰기, 메모리 사용량 사이에 어떤 균형을 찾아 데이터의 일관성과 가용성 사이에서 타협적 결정을 내린다.
이번 장에서 설계할 특성은 아래와 같다.
단일 서버 키-값 저장소를 설계하는 것은 쉽고(전부 메모리에 해시 테이블로 저장) 빠른 속도를 보장하지만 메모리 한계로 인해 규모 확장이 필요하게 된다.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분산 키-값 저장소를 만들 필요가 있다.
분산 시스템을 설계할때는 CAP 정리 (Consistency, Availability, Partition, Tolerance Theorem)를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CAP 정리는 데이터 일관성, 가용성, 파티션 감내 세 가지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하는 설계는 불가능하다는 정리다.
이들 가운데 두 가지를 충족하려면 나머지 하나는 반드시 희생되어야 한다.
CA 시스템은 파티션 감내를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네트워크 장애는 피할 수 없으므로 분산 시스템은 반드시 파티션 문제를 감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CA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래 예시는 노드 n1, n2, n3에 데이터를 복제하여 보관하는 상황이다.
n3에 장애가 발생하여 n1, n2와 통신할수 없다. 따라서 n1, n2에 기록한 데이터는 n3에 전달되지 않고 n3에 저장됐지만 n1, n2로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가 있다면 n1, n2는 오래된 사본을 가지고 있게 된다.
이번 절에 다루는 내용은 많이 알려진 키-값 저장소인 다이나모, 카산드라, 빅테이블의 사례를 참고한다.
안정 해시를 통해 고른 데이터 분산과 노드 추가 삭제시 데이터를 최소로 갱신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안정 해시로 데이터 파티션을 하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높은 가용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데이터를 N개 서버에 비동기적으로 다중화(replication)한다.
해시 링에서 키가 순회하면서 만나는 N개의 서버에 데이터 사본을 저장한다. 아래는 N=3 일 때 예제이다. key0는 s1. s2. s3에 저장된다.
가상 노드를 사용하면 실제 물리 서버가 중복될 수 있으므로 중복 선택하지 않도록 구현한다. 또한 데이터 센터 역시 중복되지 않도록 구현한다.
다중화된 데이터는 적절히 동기화 되어야 한다. 정족수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W, R. N의 값을 정하는 것은 레이턴시와 데이터 일관성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를 찾는 전형적인 과정이다. W나 R이 커지면 데이터 일관성은 향상되지만 레이턴시가 길어진다.
W + R > N인 경우에는 강한 일관성이 보장된다.
버저닝은 데이터를 변경할 때마다 해당 데이터의 새로운 버전을 만든다. 각 버전의 데이터는 변경 불가능하다.
서버 1과 서버 2가 동시에 다른 값으로 "name"을 변경한다면 충돌이 나게 된다. 이러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 벡터 시계를 사용한다.
벡터 시계는 D([S1, v1], [S2, v2], ..., [Sn, vn])이라고 표현하자. D는 데이터, S는 서버 번호, v는 버전 카운터 이다.
데이터 D를 서버 Si에 기록하면, 시스템은 [Si, vi] 가 있다면 vi를 증가시키고 없으면 [Si, 1]을 만들게 된다.
버전 Y에 포함된 모든 구성 요소 값이 버전 X보다 같거나 크면 버전 Y는 버전 X 이후의 충돌이 없는 버전이다.
만약 버전 Y에 포함된 구성 요소 중 X 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이 있으면 충돌된 값이다. 모든 값이 작다면 Y가 X의 이전 값이다.
예를 들어 D([s0, 1], [s1, 2])와 D([s0, 2], [s1, 1])은 충돌한다.
벡터 시계를 사용하면 충돌 감지 및 해소 로직이 클라이언트에 들어가므로 구현이 복잡해진다. 또한 벡터 시계의 개수가 굉장히 빨리 늘어나므로 어떤 임계치를 정하고 그 이상 길이가 길어지면 오래된 백터 시계 값을 제거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버전 간 선후 관계가 정확하게 결정될 수 없기 때문에 충돌 해소 과정의 효율성이 낮아지게 된다.
보통 두 대 이상의 서버가 똑같이 서버 A의 장애를 보고해야 해당 서버에 실제로 장애가 발생했다고 간주한다. 모든 노드 사이에 채널을 구축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지만 서버가 많아지면 연결수가 엄청나게 증가하므로 비효율적이라서 가십 프로토콜 같은 분산형 장애 감지 솔루션을 채택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시스템이 장애 감지시 가용성 보장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한다.
장애 서버로 가는 요청은 잠시 다른 서버가 맡아 처리하면서 그에 관한 단서를 남겨둔다. 서버 복구시 일괄 반영하여 데이터 일관성을 보존한다.
반-엔트로피(anti-entropy)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사본들을 동기화한다. 반-엔트로피 프로토콜은 사본들을 비교하여 최신 버전으로 갱신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사본 간의 일관성이 망가진 상태를 탐지하기 위해 머클 트리를 사용한다.
각 노드는 다음의 기능 전부를 지원한다.
아래는 카산드라의 사례이다.
캐시에 데이터를 먼저 확인한다. 없으면 어느 SSTable에 찾는 키가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블룸 필터를 사용한다.
1. 데이터가 메모리에 있는지 검사한다. 없으면 2로 간다.
2. 데이터가 메모리에 없으므로 블룸 필터를 검사한다.
3. 블룸 필터를 통해 어떤 SSTable에 데이터가 보관되어 있는지 알아낸다.
4. SSTable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5. 해당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본 포스트는 알렉스 쉬 저자의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를 기반으로 스터디하며 정리한 내용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