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에 추가된 일
중간에 취소된 일
MSBA(Master of Business Analytics)
대안 데이터
전통적인 데이터 소스(예: 금융 보고서, 경제 지표) 외의 비정형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여 새로운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데이터.
주로 투자, 마케팅, 리스크 관리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며, 기술 발전으로 인해 점점 더 다양한 소스에서 수집되고 있다.
특징
1. 전통적인 데이터 외의 새로운 관점을 제공
2. 대규모, 비정형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 필요 (예: 머신러닝, 빅데이터 분석)
3.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실시간 정보를 제공
주요 데이터 소스
- 소셜 미디어: 트렌드 분석, 브랜드 평가
- 위성 이미지: 농업 생산량, 물류 이동 추적
- 신용카드 사용 기록: 소비자 행동 분석
- 검색 트렌드: 시장 수요 예측
- IoT 데이터: 센서, 위치 정보, 날씨 데이터
활용 사례
투자: 헤지펀드와 자산운용사들이 소비자 행동, 날씨 패턴, 위성 이미지를 통해 시장 예측
마케팅: 소비자 리뷰와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해 브랜드 인지도와 제품 성공 가능성 예측
리스크 관리: 자연재해 데이터와 물류 데이터를 결합해 공급망 리스크 평가
마이 데이터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고 통제하며, 필요한 경우 이를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관리 체계.
이는 데이터 주권을 개인에게 부여하고, 데이터 활용을 통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특징
1.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과 통제권을 가짐
2. 데이터 활용에 대한 투명성과 보안이 강조됨
3. 정부와 금융,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성화
주요 데이터 소스
금융 데이터: 은행 거래, 대출, 카드 사용 내역
의료 데이터: 건강검진 기록, 처방전
교육 데이터: 학습 이력, 성적, 수료 정보
소셜 데이터: SNS 사용 기록, 온라인 행동 데이터
활용 사례
금융 서비스 : 개인이 자신의 금융 데이터를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금융상품 추천
예) 대출 금리 비교, 자산 관리 서비스
헬스케어 : 건강 데이터를 바탕으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예) 특정 질병 예방을 위한 운동 및 식단 추천
개인화 서비스 : 온라인 쇼핑에서 소비자 데이터 기반 맞춤형 제품 추천
정부 정책 : 정부가 개인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데이터 기반 정책 결정 지원
오늘 라때TALK를 통해 현직에 종사하시던 튜터님들의 이야기를 많이 들어 새로 알게된 단어와 정보가 많은데 최종 프로젝트 조정으로 하루 일정이 너무바빠 다정리하지 못했다.
내일은 폴리텍에서 서류문제로 호출이 와서 외출 건도 있다 보니 내일 또한 바쁜 하루가 될듯하다. 주어진 강의를 적당히 들어놓아야 목 금 수업복습시간도 할애가 가능 할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