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모드만 애용하는 제게 라이트모드는 가끔 궁금할 때 빼고는 거의 보지 않는 모드와 같아요. (ㅎㅎ)
개인 블로그를 구현하는 와중 Default 모드가 라이트 모드이기 때문에 새로고침 할 때마다 밝은 화면을 마주하는 게 눈의 피로도를 높이는 문제점을 발견했어요.
이런 문제는 저에게만 해당된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디바이스 모드에 대응되는 값을 Default 모드로 할 수는 없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고, 이미 제가 사용하는 웹 사이트들 중 대부분은 이렇게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했어요.
따라서 저 또한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테마 동기화!를 구현해보고자 합니다.
처음 작성한 코드는 이와 같아요.
useEffect(() => {
if (typeof window !== 'undefined') {
const isLight = window.matchMedia('(prefers-color-scheme: light)').matches; // 디바이스의 theme 가져오기
setTheme(isLight ? Theme.LIGHT : Theme.DARK);
}
}, []);
window의 matchMedia 메서드를 통해 theme이 light인지 판별하고, 이에 해당하는 Theme을 설정해주는 로직이에요.
어찌보면 당연한 문제가 발생했어요.
제가 구현한 기술블로그는 Remix
를 사용했기 때문에 SSR
환경이었고, 때문에 클라이언트 측 코드는 html이 모두 빌드된 이후 실행되어 아래 영상과 같이 새로고침을 통해야만 시스템에 대응하는 모드를 가지는 걸 확인할 수 있었어요.
이런 흐름은 자연스럽지 못한 액션이라고 생각하여 시스템 환경과 사이트 테마를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수정하고자 해요.
Remix에서는 @remix-run/node
패키지를 통해 쿠키 관련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해요.
쿠키를 만들어서 서버에서 theme과 관련된 값을 관리해요
pnpm add @remix-run/node
theme.server.ts
import { createThemeSession } from 'remix-themes';
import { createCookie } from '@remix-run/node';
// 쿠키 생성 -> theme 저장
export const themeSession = createThemeSession(createCookie('theme', {
sameSite: 'lax',
path: '/',
httpOnly: true,
}));
// request 객체에서 theme 값을 읽어옴
export async function themeSessionResolver(request: Request) {
return await themeSession.getSession(request);
}
Remix의 loader 함수에서 쿠키를 통해 전달받은 theme 값을 초기 HTML 렌더링 시점에 전달해줄 수 있어야 해요.
root.tsx
export const loader = async ({ request }: LoaderFunctionArgs) => {
const { getTheme } = await themeSessionResolver(request);
return json({
theme: getTheme(),
});
};
THemeProvider 내의 specificTheme을 사용해서 서버에서 전달한 값을 넘겨줘야 해요.
themeAction 경로는 사용자가 테마를 수동으로 변경할 때 호출되는 서버 액션입니다.
이 부분은 다음 단계에서 설명할게요.
export default function AppWithProviders() {
const { theme } = useLoaderData<typeof loader>();
return (
<ThemeProvider
specifiedTheme={theme as Theme | null}
themeAction="/actions/set-theme" // 테마 변경 시 호출될 액션
>
<App />
</ThemeProvider>
);
}
사용자가 라이트/다크 모드를 수동으로 선택할 경우, 디바이스 테마 이외에도 이 선택을 서버에 저장해주는 액션이 필요해요.
/actions/set-theme
라우트를 만들어 쿠키를 업데이트 해줍니다.
이 액션은 remix-themes의 ThemeProvider에서 내부적으로 호출하는 경로이기 때문에 테마를 변경하게 되면 actions/set-theme으로 POST 요청이 가게 되고, 쿠키가 갱신되어 테마가 바뀌게 됩니다.
이때 파일명을 actions.set-theme
으로 해야 정상적으로 POST 요청이 가게 돼요
routes/actions.set-theme.ts
import type { ActionFunctionArgs } from '@remix-run/node';
import { isTheme } from 'remix-themes';
import { themeSessionResolver } from '~/utils/theme.server';
export const action = async ({ request }: ActionFunctionArgs) => {
const { setTheme } = await themeSessionResolver(request);
const formData = await request.formData();
const theme = formData.get('theme');
if (!isTheme(theme)) {
return;
}
return {
headers: {
'Set-Cookie': await setTheme(theme),
},
};
};
여기까지 진행하면 요렇게 새로고침 필요 없이 시스템 모드에 따라 웹 사이트의 테마도 유동적으로 바뀌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 !!
하지만 또 다른 문제 상황을 발견했어요.
Cookie에 어떠한 값도 없는 경우(처음 진입했을 때)에는 기본값(ex. 라이트모드)를 띄워주는 이슈가 있었어요.
이 문제를 FOUC(Flash of Unstyled Content) 라고 부른다는 걸 알게됐어요.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환경에서는 서버가 HTML을 먼저 생성해서 보내주게돼요. 이때 서버는 사용자의 OS 테마 설정을 직접적으로 알 수 없기 때문에, 쿠키에 저장된 테마 값이 없다면 기본값(ex. 라이트 모드)으로 HTML을 렌더링하게 돼요.
이후 클라이언트 측에서 JavaScript가 실행되면서 window.matchMedia
를 통해 사용자의 실제 OS 테마를 파악하고, 이에 맞춰 테마를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돼요. 이 과정에서 서버가 보낸 기본 테마와 클라이언트가 적용하려는 실제 테마가 달라서 잠시 다른 테마가 보이는 현상, FOUC가 발생하게 돼요.
따라서 head 태그 안에 이와 같은 스크립트를 추가해줘야 해요.
저 같은 경우 remix-themes를 사용하고 있어서 해당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태그를 사용해주었어요.
<html ...>
<head>
<meta charSet="utf-8"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
<Meta />
<PreventFlashOnWrongTheme ssrTheme={Boolean(theme)} /> // 추가 !!
<Links />
</head>
<body>
...
</body>
</html>
이 스크립트는 DOM이 로드되는 시점에 즉시 OS의 테마 설정을 확인하여 적절한 테마 클래스(ex. dark
또는 light
)를 추가하는 역할을 해요.
이런 과정을 통해 OS 테마에 유동적으로 테마가 변화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어요 🎉
위 내용들은 https://dev.to/maxh1t/setting-up-themes-in-ssr-react-applications-eem 을 참고하여 작성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