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 출처 정책, Same Origin Policy(SOP)
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웹 보안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이용자가 웹 서비스에 접속할 때, 브라우저는 해당 웹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인증 정보인 쿠키를 HTTP 요청에 포함시켜 전달한다.
이러한 특징은 사이트에 직접 접속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브라우저는 웹 리소스를 통해 타 사이트를 접근할 때도 인증 정보인 쿠키를 함께 전송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악의적인 페이지가 클라이언트의 권한을 이용해 대상 사이트에 HTTP 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가져온 데이터를 악의적인 페이지에서 읽을 수 없게 해야 한다. 이것이 브라우저의 보안 메커니즘인 동일 출처 정책(SOP)
이다.
오리진(Origin)은 프로토콜(Protocol, Scheme), 포트(Port), 호스트(Host)로 구성된다.
구성 요소가 모두 일치해야 오리진이라고 한다.
SOP는 Cross Origin이 아닌 Same Origin일 때만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한다.
sameNewWindow = window.open('https://dreamhack.io/lecture');
console.log(sameNewWindow.location.href);
결과: https://dreamhack.io/lecture
crossNewWindow = window.open('https://theori.io');
console.log(crossNewWindow.location.href);
결과: Origin 오류 발생
다음과 같이 외부 출처에서 불러온 데이터를 읽으려고 할 때는 오류가 발생해 읽지 못한다. 하지만 읽는 것 외에 데이터를 쓰는 것은 문제없이 동작한다.
다음은 모듈 구성 코드이다.
<!-- iframe 객체 생성 -->
<iframe src="" id="my-frame"></iframe>
<!-- Javascript 시작 -->
<script>
/* 2번째 줄의 iframe 객체를 myFrame 변수에 가져옵니다. */
let myFrame = document.getElementById('my-frame')
/* iframe 객체에 주소가 로드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코드를 실행합니다. */
myFrame.onload = () => {
/* try ... catch 는 에러를 처리하는 로직 입니다. */
try {
/* 로드가 완료되면, secret-element 객체의 내용을 콘솔에 출력합니다. */
let secretValue = myFrame.contentWindow.document.getElementById('secret-element').innerText;
console.log({ secretValue });
} catch(error) {
/* 오류 발생시 콘솔에 오류 로그를 출력합니다. */
console.log({ error });
}
}
/* iframe객체에 Same Origin, Cross Origin 주소를 로드하는 함수 입니다. */
const loadSameOrigin = () => { myFrame.src = 'https://same-origin.com/frame.html'; }
const loadCrossOrigin = () => { myFrame.src = 'https://cross-origin.com/frame.html'; }
</script>
<!--
버튼 2개 생성 (Same Origin 버튼, Cross Origin 버튼)
-->
<button onclick=loadSameOrigin()>Same Origin</button><br>
<button onclick=loadCrossOrigin()>Cross Origin</button>
<!--
frame.html의 코드가 아래와 같습니다.
secret-element라는 id를 가진 div 객체 안에 treasure라고 하는 비밀 값을 넣어두었습니다.
-->
<div id="secret-element">treasure</div>
myFrame.onload = () => {
/* try ... catch 는 에러를 처리하는 로직 입니다. */
try {
...
let secretValue = myFrame.contentWindow.document.getElementById('secret-element').innerText;
console.log({ secretValue });
secret-element
객체의 값인 treasure
를 읽어와 콘솔에 출력한다.=> 실습을 통해 확인하면 same origin 버튼을 누르면 코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콘솔에 treasure이 출력되는 걸 확인할 수 있고, cross origin 버튼을 누르면 Cross origin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다는 오류가 출력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브라우저가 SOP에 구애받지 않고 외부 출처에 대한 접근을 허용해주는 경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나 자바스크립트, CSS 등의 리소스를 불러오는 <img>
, <style>
, <script>
등의 태그는 SOP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런 경우 외에도 웹 서비스에서 동일 출처 정책인 SOP를 완화하여 다른 출처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두 사이트는 오리진이 다르기 때문에 SOP를 적용받지 않고 리소스를 공유할 방법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공유 방법을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CORS)
라고 한다.
교차 출처의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은 CORS와 관련된 HTTP헤더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외에도 JSON with Padding(JSONP) 방법을 통해 CORS를 대체할 수 있다.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CORS)는 HTTP 헤더에 기반하여 Cross Origin 간에 리소스를 공유하는 방법이다.
발신 측에서 CORS 헤더를 설정해서 요청하면, 수신 측에서 헤더를 구분해 정해진 규칙에 맞게 데이터를 가져갈 수 있도록 설정한다.
다음은 웹 리소스를 요청하는 발신측 코드의 일부와 발신측의 HTTP 요청이다.
/*
XMLHttpRequest 객체를 생성합니다.
XMLHttpRequest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 전송을
도와주는 객체 입니다. 이를 통해 HTTP 요청을 보낼 수 있습니다.
*/
xhr = new XMLHttpRequest();
/* https://theori.io/whoami 페이지에 POST 요청을 보내도록 합니다. */
xhr.open('POST', 'https://theori.io/whoami');
/* HTTP 요청을 보낼 때, 쿠키 정보도 함께 사용하도록 해줍니다. */
xhr.withCredentials = true;
/* HTTP Body를 JSON 형태로 보낼 것이라고 수신측에 알려줍니다. */
xhr.setRequestHeader('Content-Type', 'application/json');
/* xhr 객체를 통해 HTTP 요청을 실행합니다. */
xhr.send("{'data':'WhoAmI'}");
OPTIONS /whoami HTTP/1.1
Host: theori.io
Connection: keep-alive
Access-Control-Request-Method: POST
Access-Control-Request-Headers: content-type
Origin: https://dreamhack.io
Accept: */*
Referer: https://dreamhack.io/
발신측에서 POST 방식으로 HTTP 요청을 보냈으나, OPTIONS 메소드를 가진 HTTP 요청이 전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CORS preflight
라고 하며, 수신측에 웹 리소스를 요청해도 되는지 질의하는 과정이다.
Access-Control-Request-Method: POST
Access-Control-Request-Headers: content-type
발신측의 HTTP 요청 코드를 살펴봤을 때, "Access-Control-Request"로 시작하는 헤더가 존재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해당 헤더 뒤에 Method와 Headers는 각각 메소드와 헤더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질의한다.
다음과 같이 질의했을 때 서버는 다음과 같이 응답한다.
HTTP/1.1 200 OK
Access-Control-Allow-Origin: https://dreamhack.io
Access-Control-Allow-Methods: POST, GET, OPTIONS
Access-Control-Allow-Credentials: true
Access-Control-Allow-Headers: Content-Type
위 과정을 마치면 브라우저는 수신측의 응답이 발신측의 요청과 상응하는지 확인하고, 확인한 다음 POST 요청을 보내 수신측의 웹 리소스를 요청하는 HTTP 요청을 보낸다.
이미지나 자바스크립트, CSS 등의 리소스가 SOP에 구애받지 않고 외부 출처에 대해 접근을 허용한다는 점을 이용해서 JSONP 방식은 <script>
태그로 Cross Origin의 데이터를 불러온다.
하지만 <script>
태그 내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코드로 인식하기 때문에 Callback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callback 파라미터에 어떤 함수로 받아오는 데이터를 핸들링할지 넘겨주면, 대상 서버는 전달된 Callback으로 데이터를 감싸 응답한다.
예시_
<script>
/* myCallback이라는 콜백 함수를 지정합니다. */
function myCallback(data){
/* 전달받은 인자에서 id를 콘솔에 출력합니다.*/
console.log(data.id)
}
</script>
<!--
https://theori.io의 스크립트를 로드하는 HTML 코드입니다.
단, callback이라는 이름의 파라미터를 myCallback으로 지정함으로써
수신측에게 myCallback 함수를 사용해 수신받겠다고 알립니다.
-->
<script src='http://theori.io/whoami?callback=myCallback'></script>
다음의 코드를 살펴보면 마지막 줄에서 Cross Origin의 데이터를 불러오고, 이때 callback 파라미터로 myCallback을 함께 전달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Cross Origin에서는 응답할 데이터를 myCallback함수의 인자로 전달될 수 있도록 myCallback으로 감싸서 JavaScript 코드를 반환해준다.
/*
수신측은 myCallback 이라는 함수를 통해 요청측에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전달할 데이터는 현재 theori.io에서 클라이언트가 사용 중인 계정 정보인
{'id': 'dreamhack'} 입니다.
*/
myCallback({'id':'dreamhack'});
다만 JSONP는 CORS가 생기기 전에 사용하던 방법으로,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