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itive Type과 Literal

김남건·2021년 7월 19일
0

Java - 1. 기본 문법

목록 보기
3/6
post-thumbnail

Primitive Type

종류

  1. 정수형 타입: byte, short, int, long
  2. 실수형 타입: float, double
  3. 문자형 타입: char
  4. 논리형 타입: boolean

정수형 타입

각 타입의 메모리 크기는 다음과 같다.

  1. byte: 1 byte
  2. short: 2 byte
  3. int: 4 byte
  4. long: 8 byte

메모리 크기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다르며, 각 타입의 최댓값, 최솟값은 Wrapper class의 MIN_VALUE, MAX_VALUE field로 접근하면 된다.

System.out.println(Integer.MIN_VALUE); // -2^(31)

overflow와 underflow

해당 타입의 최댓값(최솟값)보다 큰(작은) 수를 저장할 때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overflow나 underflow가 발생하면 의도치 않은 값이 저장된다.

public class Datatype0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yte num1 = 127;
        byte num2 = -128;

        num1++; // 127 + 1
        num2--; // -128 - 1
 
        System.out.println(num1); // -128
        System.out.println(num2); // 127

    }
}

실수형 타입

float와 double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문자형 타입

char가 있으며, unicode의 모든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2 byte를 할당받는다.

논리형 타입

boolean이 해당되며, true와 false 중 하나의 값을 갖는다. 메모리는 1 byte를 할당받는다.

Literal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한다.
타입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1. 정수형 literal
  2. 실수형 literal
  3. 논리형 literal
  4. 문자형 literal: 작은 따옴표로 감싼다.
  5. 문자열 literal: 큰 따옴표로 감싼다.
  6. null literal

접미사

long, float, double은 접미사를 가진다.

  1. long: l 또는 L
  2. double: d 또는 D(생략 가능)
  3. float: f 또는 F

Reference

http://tcpschool.com/java/java_datatype_basic
http://tcpschool.com/java/java_datatype_constant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