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릭(Generic) 쉽게 말하자면 데이터 타입을 일반화하는 것이다. 클래스나 메서드에서 사용할 내부 데이터 타입을 컴파일 시에 미리 지정하는 것이다. 장점 클래스, 메서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타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반환값의 타입 변환 및 검사에 들어가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 JDK 1.5 이전의 경우 여러 타입을 사용하는 클래스나 메서...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 다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는 클래스들의 집합을 말한다. 데이터를 처리하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구조화하여 클래스로 구현한 것이다. 필요성(배열의 문제점) 배열의 경우 생성 시 저장할 수 있는 객체 수가 결정되기 때문에 불특정 다수의 객체를 저장할 때 사용하기는 불편하다. 또한 ...
List 컬렉션 클래스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로, ArrayList, LinkedList, Vector, Stack이 있다. 요소의 저장 순서가 유지되고, 같은 요소의 중복 저장이 허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List<E> 인터페이스 메서드 |메서드|설명| |-|-| |void add(int index, E element)boolea...
Stack<E> 클래스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Vector를 상속받은 클래스이다. 메서드 empty, peek, pop, push, search가 있다. Vector로부터 이 5개 메서드만 상속받는다. |메서드|설명| |-|-| |boolean empty()|스택이 비어 있으면 true 반환| |E peek()|제일 마지막으로 저장된 객...
Set 컬렉션 클래스 S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로, 요소의 저장 순서를 유지하지 않고, 같은 요소의 중복 저장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null도 하나만 저장 가능하다.) 전체 객체를 대상으로 작업을 하고자 하면 iterator를 사용해야 한다. Set 인터페이스 메서드 |메서드|설명| |-|-| |boolean add(E e)|주어진 ...
Map 인터페이스 Collection 인터페이스와는 다른 저장 방식을 가진다. (key, value) 쌍으로 구성된 Map.Entry라는 객체들을 저장하는 구조이다. 제네릭이어서 key와 value는 모두 객체이다. 구현한 클래스로는 HashMap, Hashtable, TreeMap이 있다. 특징 요소의 저장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다. key의 중복은 안...
Iterator<E> 인터페이스 컬렉션에 저장된 요소를 읽는 방법을 표준화한 것이다. Collection 인터페이스에서는 iterator() 메서드를 정의하였는데, Itera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반환하는 메서드이다. List와 Set 인터페이스의 경우 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았기 때문에 iterator()...
Comparable<T> 인터페이스 Comparable 인터페이스의 경우 compareTo() 메서드를 정의하는데, 객체를 정렬하기 위해 사용한다. Java에서 같은 타입의 인스턴스를 비교해야 하는 클래스의 경우 모두 Compa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따라서 Boolean을 제외한 래퍼 클래스나 String, Date, Time 등의 ...
개요 TreeSet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NavigableSet과 SortedSet을, TreeMap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NavigableMap과 SortedMap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TreeSet<E> SortedSet<E> SortedSet이 NavigableSet보다 상위 클래스이므로 먼저 살펴보자. 객체들이 정렬되어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