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다 못한 파노라마 UI 사이트를 오늘 끝냈다.아래는 깃허브 주소이다.https://github.com/namYeJi9q/PanoramaUI.git업로드중..transform을 이용해서 로테이션이 돌아가는 원리를 알게 되어 매우 신기했다. 배포까지 하고 싶
예전에 배운 내용도 까먹는 까마귀라서 포스팅이라도 해서 남겨야겠다.사실 10분도 안되서 끝나는 일인데 매우매우 도움이 된다.가입하면 오른쪽 상단에 아이콘을 클릭해준다. 누른 뒤 아무런 이동이나 움직임도 없는게 정상이다. 이건 해놓는게 신상에 이롭다. 자동완성을 시켜주고
주제 나의 파노라마 UI 사용 스텍 HTML5 CSS3 Git Github(page 배포) 소스 https://unsplash.com/ko https://coverr.co/
sass를 이용하면 CSS를 효율적으로 모듈화를 시킬 수 있고, 여러가지 반복문, 조건문 같은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아래와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변수의 사용조건문과 반복문ImportNestingMixinExtend/Inheritancesass를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의 구성요소 중 한가지로, API를 기반으로 대상 환경(플랫폼)에서 바로 실행될 수 있도록 모듈화된 프로그램 모음이다. 라이브러리는 혼자서 동작하는 완전한 프로그램이 아닌, 특정한 부분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제작된, 컴파일되어 기계어의 형태로 (또는
VSCODE 설치Node.js 설치 (Node.js를 설치 시 npm은 자동으로 설치됨)Yarn 설치바탕화면에 프로젝트 폴더 만들기폴더 안에 Next.js 프로젝트 설치(Next.js 설치 시 React.js 는 자동으로 설치됨)Emotion 설치Apollo-Clien
오늘의 목표 [v] 레포지토리 생성 [ ] 레이아웃 [ ] 로그인 [ ] 회원가입 [ ] 메인페이지 [ ] 권한분기 1. 레포지토리 생성 이 레포지토리를 vscode와 연결해주었다. git init을 하기 전에 혹시 몰라서 ls -al을 해보니 .git 파일이 있
오늘은 배포 이론이다. 배포 전에 봐야하는 건 테스트다. 이제까지 해왔던 기능들이 자라 작동되는지 볼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테스트 코드를 만들어서 테스트를 자동화 하는 방법 테스트와 배포로 이번시간은 생각하면 되겠다. 도메일을 만들어야한다. 구매하면 된다. 내가
좋아요를 클릭하면 원래는 많은 단계가 있지만 아폴로캐시에서 미리 다음 숫자를 생각해서 미리 보여주고 요청을 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을 한다. 쉽게말해 좋아요가 8이 있다면 눌렀을때 9가 되겠지 하고 예상해서 누르면 9로 바뀌게 먼저 보여주는 것이다. 만약 백엔드나 디
state 렌더링 원리 state를 쓰면 리렌더링이 되기 때문에 위에서 똑같은게 다시 만들어진다. 이렇게 state할때마다 재렌더링 되는건 불필요하다. 불필요한 재렌더를 막는 방법. useMemo라는걸 사용한다. >사용법 useMemo(() => Math.rand
async-await는 최신기능이다. 없을때는 프로미스와 콜백함수를 사용했다. 새로운 기술이 나왔다면 똑같은 기능을 하던게 뭐였는지. 뭐가 개선이 되었는지 알아보아야 성장을 빠르게 할 수 있다!! Callback 함수 함수를 실행할 때 매개변수로 숫자나 문자만 넣는
결제승인 과정결제승인시 주의사항결제승인 일정PG사(대신 결제해주는 회사) ex)KG이니시스 PDF보고 API를 직접 만들어야하다보니 복잡하고 어려움. rest api를 만들어주는 결제솔루션 회사가 나타남. 대표적으로 아임포트, 부트페이 등이 있다.그래서 결과적으로 굉장
넥스트js와 지도 라이브러리는 싱글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이라는 것 때문에 생각지 못한 오류가 날 수 있다. 이걸 한번 알아볼 예정.맵을 프로젝트 내부에 적용하면 좀 더 좋은 편의성을 제공해줄 수 있지 않을까?카카오 맵 API를 이용해서 프로젝트 내 지도를 직접 구현해보자
오늘부터 배우는건 실천이다! 게시글등록창, 로그인 창 등 양식을 만들때마다 onChangeWiter등을 썼는데 이제는 그걸 쓰지 않아도 된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한 포트폴리오를 리펙토링하면 코드를 많이 줄일 수 있다. 오늘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리엑트-훅-폼,
중요한 로그인! 로그인은 모든 사이트에 다 있지만 생각보다 깊이가 있는 어려운 문제이다. 예전 방식과 요즘방식을 이해하고 JWT토큰(증표)를 저장하기! 로그인의 역사 회원가입과 로그인은 다르다. 회원가입은 user라는 테이블을 만들고 저장하면 된다. 새로운 게시글
오늘은 원리를 알아볼 예정!로그인이나 결제도 알아보자. 로그인 등 보안문제 해결 기능 추가여러 케이스 최적화 방향글로벌 스테이트 Recoil을 사용해 props없이 사용해보자로그인은 방법이 사람맏 다 다른데 옛날 방식과 최근 방식의 차이 때문이다.그래서 로그인의 역사를
로컬호스트는 '나' 라고 보면 된다.배열이나 객체는 값이 바뀌지 않고 주소가 바뀌기 때문에 스프레드를 시켜서 넣어준다. (class 15-2) 복습 요망리렌더업로드한 사진의 수정은 useEffect 를 사용해서 심플하게 했다. 이러면 리렌더가 한번 더 되지만 이렇게
클릭하면 함수작동eslint 오류를 해결할 수 있다.또 하이오드 function과 프로미스 관련 내용은 뒤에 더 깊게 배우게 된다. 프리보드 파이어베이스부분이미지나 동영상은 파이어베이스 storage라는 서비스에 저장다시 복습하면rest-api : react-query
피곤이 누적되서 피곤한지 모르겠는 하루 시작! 오늘은 벌써 학원에 나온지 18일째 되는 날이다. 오늘 아폴로 서버로 시작하는데 아폴로가 뭐였지...? > 아폴로 클라이언트란? Apollo 클라이언트는 GraphQL을 사용하여 로컬 및 원격 데이터를 모두 관리할 수
개발자를 할 때 프론트앤드를 선택하면 백앤드를 공부안해도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어느정도 깊이 들어가려하면 백앤드와 연결되어야 하는 일이 많다. 일이 잘못되면 내 잘못인지 백앤드 잘못인지 알아야한다. 연차가 쌓일수록 더 중요하니 집중해보자!!CORS (Cross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