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4J를 기반으로 개발된 로깅(logging) 라이브러리이다. log4j에 비해 약 10배 정도 빠른 퍼포먼스, 메모리 효율성이 증대되어 있다.
💡 출시순서: log4j → logback → log4j2
Log의 형태 및 어디에 출력할지 설정하기 위한 영역
대표적인 형식은 아래와 같다.
Appender 내에 포함되는 항목이며, pattern을 사용하여 원하는 형식으로 로그를 표현할 수 있다.
설정한 Appender를 참조하여 로그의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root는 전역 설정이며, 지역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logger를 사용한다.
TRACE → DEBUG → INFO → WARN → ERROR
1) ERROR: 로직 수행 중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시스템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여 작동이 불가한 경우
2) WARN: 시스템 에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경고 레벨, 처리 가능한 사항
3) INFO: 상태변경과 같은 정보성 메시지
4) DEBUG: 어플리케이션의 디버깅을 위한 메시지 레벨
5) TRACE: DEBUG 레벨보다 더 디테일한 메시지를 표현하기 위한 레벨
예를 들어 로그 레벨을 'INFO'라고 설정했을 경우, 'TRACE', 'DEBUG' 레벨은 출력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Classpath에 있는 logback 설정 파일을 참조한다.
참고)
어라운드허브 스튜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