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example.com
, www.google.com
등이 그 예시출처 : https://www.goup.co.uk/technical-seo/learn/best-domain-strategy-for-international-expansion/
(사진의 a, b, c를 확인할 것)
루트 도메인
: 도메인 주소 마지막에 생략된 '.'
최상위 도메인(=TLD)
: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도메인 네임의 마지막 부분
: www.naver.com
의 경우, com
이 이에 해당
2단계 도메인
: 최상위 도메인의 하부 도메인
: 2단계, 3단계 ... 로 늘어남 (보통은 3~5단계)
: www.naver.com
의 경우,naver
가 이에 해당
전체 주소 도메인 네임(=FQDN)
: 도메인 네임을 모두 포함하는 도메인 네임
: FQDN을 통해 호스트의 IP주소를 알아낼 수 있음
호스트 네임
: FQDN의 첫 번째 부분
: www.naver.com
의 경우, www
가 이에 해당
: 보통 FQDN 자체를 호스트 네임이라고도 함
google.com
의 서브 도메인은 google.com
을 포함한 모든 도메인이다.레코드 유형 | 설명 |
---|---|
A | 도메인 네임과 IPv4주소와의 대응 관계 |
AAAA | 도메인 네임과 IPv6주소와의 대응 관계 |
CNAME | 호스트 네임에 대한 별칭 |
NS | 네임 서버 |
MX | 메일 서버 |
타입 | 이름 | 값 | TTL |
---|---|---|---|
A | example.com. | 1.2.3.4 | 300 |
CNAME | www.example.com. | example.com. | 300 |
이런 구조라면, www.example.com.
을 질의하면 1.2.3.4
를 응답받을 수 있다.
사진 출처 : https://www.hostnoc.com/dns-hierarchy-everything-you-need-to-know/
8.8.8.8
, 클라우드플레어 1.1.1.1
재귀적 질의
: 로컬 서버가 루트 서버에게, 루트 서버가 TLD 서버에게, TLD 서버가 책임 서버에게 질의하고, 응답 결과를 역순으로 전달받는 방식
반복적 질의
사진 출처 : https://bunny.net/academy/dns/what-is-recursive-dns-rdns/
: 위에서 설명했던 과정 처럼, 로컬 DNS 서버가 각 서버들과 모두 질의응답을 주고받는 방식
사진 출처 : https://www.beusable.net/blog/?p=4507
type/subtype
의 형태image/png
: png 타입의 이미지 text/plain
: 평문 텍스트 문서
사진 출처 :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Guides/Messages
메소드 이름 | 설명 |
---|---|
GET | 특정 자원을 조회 |
HEAD | 헤더만을 응답 받음 |
POST | 서버가 특정 작업을 처리하게끔 함 |
PUT | 자원을 전체를 수정 |
PATCH | 자원의 일부를 수정 |
DELETE | 자원을 삭제 |
GET /example-page HTTP/1.1
Host: www.example.com
Accept: *
POST /posting HTTP/1.1
Host: www.example.com
.. 헤더 생략 ..
{
"Id" : 1,
"Title" : "안녕하세요",
"Contents" : "하이"
}
보통 POST, PUT, PATCH의 경우 메세지 본문을 많이 활용한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html
Content-Length: 1234
HTTP/1.1 201 Created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ontent-Length: 100
Date: Wed, 6 Aug 2025 03:30:00 PST
Location: /posting/1
{
"Id" : 1,
"Title" : "안녕하세요",
"Contents" : "하이"
}
상태 코드 | 설명 |
---|---|
100번대 | 정보성 상태 코드 |
200번대 | 성공 상태 코드 |
300번대 | 리다이랙션 상태 코드 |
400번대 | 클라이언트 에러 상태 코드 |
500번대 | 서버 에러 상태 코드 |
상태 코드 | 이유 구문 | 설명 |
---|---|---|
200 | OK | 요청 성공 |
201 | Created | 요청 성공 및 새로운 자원 생성 |
202 | Accpted | 요청 성공했으나 아직 작업중 |
204 | No Content | 요청 성공, 메세지 본문으로 표시할 데이터 없음 |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킴
: 영구적인 리다이렉션과 일시적인 리다이렉션으로 나뉜다.
상태 코드 | 이유 구문 | 설명 |
---|---|---|
301 | Moved Permanently | 재요청 메서드 변경될 수도 O |
308 | Permanent Redirect | 재요청 메서드 변경 X |
상태 코드 | 이유 구문 | 설명 |
---|---|---|
302 | Found | 재요청 메서드 변경될 수도 O |
303 | See Other | 재요청 메서드 GET으로 변경 |
307 | Temporary Redirect | 재요청 메서드 변경 X |
상태 코드 | 이유 구문 | 설명 |
---|---|---|
400 | Bad Request | 잘못된 요청 |
401 | Unauthorized | 유효한 인증이 없음 |
403 | Forbidden | 서버에 의해 접근 거부 (접근 권한 X) |
404 | Not Found | 자원이 존재하지 않음 |
405 | Method Not Allowed | 요청 메소드 지원하지 않음 |
Unauthorized
의 경우, WWW-Authenticate
헤더를 통해 인증 방법을 알려주어야한다... 생략 ..
WWW-Authenticate: Basc
... 생략 ...
상태 코드 | 이유 구문 | 설명 |
---|---|---|
500 | Internal Server Error | 요청 처리 불가 |
502 | Bad Gateway | 중간 서버의 통신 오류 |
503 | Service Unavailable | 현재는 요청 처리 불가, 나중에 가능할 수 있음 |
4번
www.example.com에서 루트 도메인은 com에 해당 (X
)1번
300번대 상태코드는 요청 자원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 (X
)크롬에서 F12 -> Network 창에서 특정 요소를 누르면 네트워크 헤더와 기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